[프라임경제] 영국 정부가 대규모 감세 조치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면서 내부반발이 심해지고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자 어쩔 수 없다는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현지시간으로 3일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통신,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쿼지 콰텡 영국 재무장관이 이날 성명을 통해 "소득이 15만파운드(한화 약 2억4000만원) 이상인 고소득자에게 적용하는 최고세율을 45%에서 40%로 낮추기로 했던 계획을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최고세율 45% 폐지안으로 영국 경제가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국민의 뜻을 이해하고 경청한 만큼 더 이상 대규모 감세안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영국에서 45% 세율이 적용되는 소득 구간은 성인 인구의 약 1%인 50만명에 해당한다. 이들은 워낙 고소득층이라 세입 규모는 60억파운드(약 9조650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보수당 내부에서는 리즈 트러스 신임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감세 정책 중에서도 소득세율 45% 폐지안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마이클 고브 전 주택부 장관은 전날 "45% 세율 폐지안이 '잘못된 가치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감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정부 차입을 늘리는 것은 보수당답지 않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한편 영국정부는 지난 9월23일 연 450억파운드(약 72조3798억원) 규모 감세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 감세 정책으로 공급을 늘리고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였다. 하지만 영국 파운드화가 급락하고 영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에 대혼란을 초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