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소속인 조해진 의원과 하태경 의원은 4일 상생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한 당헌개정안을 제출한다고 발표했다. = 박성현 기자
[프라임경제] 조해진·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4일 "파국이 아니라 상생의 길로 가야한다"며 "상생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해 당헌개정안을 제출한다"고 발표했다.
조 의원과 하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당헌 관련 기자회견을 열어 "파국 비대위가 아닌 상생 비대위 구성을 해야 한다"며 "(파국 비대위로 전환되면) 당 내부 수습이 아닌 위기의 시작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들은 "상생 당헌개정안은 이준석 대표 쫓아내기를 반대한다"며 "개정안은 이 대표의 컴백이 가능한 개정안"이라고 밝혔다.
조 의원과 하 의원이 내놓은 당헌개정안에 따르면 사고상황을 넣으면서 기존의 최고위원회는 새 지도부가 직무를 개시할 때까지 후속체제 성립에 필요한 조치 범위 안에서 존속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대표 직무대행을 넣고 비상대책위원장을 전국위원 3분의 1 이상의 동의로 추천하되 전국위원회 의장이 추천한다는 내용과 비대위 존속을 궐위 시에는 전당대회로 선출될 때, 사고 시에는 대표 직무 복귀, 기타인 경우 원인 해결로 인한 비상상황 종료될 때까지로 규정했다.
하 의원은 "끝없는 법정공방의 수렁에 빠지는 것을 막는 것"이라며 "당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국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상식적인 개정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당은 작년 재·보궐선거와 올해 대통령선거, 지방선거에서 승리했다"며 "청년과 중도층의 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조 의원은 "우리 당은 상식과 정도의 길을 가야 한다"며 "(공급망 사태 등으로 국민 불안이 큰 상황인데) 정권교체에 성공한 집권당이 끝 모를 당권투쟁에만 몰두하는 것은 무책임한 형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의원총회에서 궐위가 아닌 사고 규정했다"며 "당 대표가 다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지난 3일 전국위원장인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에 대해 "(현 당헌당규에 최고위원회 해산을 토대로 당대표를 쫓아낸다는) 규정 자체가 없다"며 "현 상황을 존중하면서 해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 의원은 "(현 당헌당규는 대표 사퇴를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서 의원이 이 대표에게) 명예로운 사퇴를 했으면 좋겠다고 언급한 것이다"라고 조 의원의 발언에 대해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