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 외교부 장관은 25일 대정부질문에서 한일정상회담 개최 전제조건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언급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일정상회담 개최 전제조건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에 대한 해법 도출을 강조했다.
박 장관은 25일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우리 측의 구체적인 해법 제시가 한일정상회담 전제조건인가라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해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강제징용 문제에 관해) 피해자가 고령화하고 (우리 법원에 압류된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가 임박해 긴장감을 갖고 이 문제를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얘기했다"며 "일본 측에도 성의 있게 호응해 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박 장관은 이번 대정부 질문에서 강제징용 피해배상 문제에 대한 해법 도출을 위해 피해자 측과 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가동 중인 사실을 소개했다.
그는 "피해자 측에서는 피고 기업과의 직접 협상과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며 "최대한 존중하면서 한일관계가 나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희상 전 국회의장이 발의한 안에 대해서는 성사되지 않았다"며 "(그럼에도) 그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전 의장의 안은 한일 기업과 국민(1+1) 등이 자발적으로 낸 성금으로 재단을 설립,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한편, 박 장관은 이번 대정부질문에서 한중관계에 대해 "최대 무역국으로 소통이나 신뢰 등 전략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3불 정책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