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태영호 의원 "한일관계, 이대로 가면 파탄…양국, 국익 먼저 판단해야"

"중국 패권주의‧우크라이나 사태 등 한미일 공조, 어느 때보다 절실"

박성현 기자 | psh@newprime.co.kr | 2022.07.15 10:08:18
[프라임경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15일 한일관계에 대해 '안보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국제위원장인 태영호 의원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전 총리의 사망과 뒤이은 자민당의 참의원 선거 압승으로 인한 평화헌법 개정 문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을 위한 현금화 문제 등 각 이슈에 대한 양국의 입장 차이는 매우 첨예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지금 상황대로 간다면 한일관계의 파탄은 확실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와 일본은 각자가 우선해야 할 중요한 국익이 무엇인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태 의원은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한다면 서울은 6분, 도쿄는 11분, 워싱턴은 39분 걸린다고 한다"며 "이외에도 중국의 패권주의 강화, 우크라이나 사태 등 다양한 안보 위협에 놓여있기에 한미일 3국 공조는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외부적으로 평화헌법 개정으로 대표되는 일본 내정에 흔들리지 않는 외교 전략과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눈앞으로 다가온 강제징용 현금화 문제에 지혜롭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 의원은 강제징용 문제 관련으로 외교부가 주재하고 있는 민관협의회에 대해 "모두가 만족할 결과를 단번에 도출하기 어려워도 이해관계 당사자들이 다 모여 앉아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국외적으로는 조문외교, 국내적으로는 강제징용 민관협의회 등 노력을 통해 지난 시기 아무런 대책 없이 위안부 합의를 파기하는 등 한일관계를 망가뜨린 전 정부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양국은 과거사를 둘러싼 신경전보다 국민 생명에 직결되는 안보라는 국익에 집중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측은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4일 제1차관 주재로 첫 민관협의회를 열었으며 지난 14일 민관협의회 제2차 회의를 개최해 피해자 법률대리인을 비롯한 당사자와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들을 수렴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향후에도 피해자 측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강제징용 문제 관련 해법 모색을 위한 소통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