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가정 내 작업공구 관련 안전사고는 코로나19 이전보다 5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작업공구 관련 안전사고 통계. ⓒ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19일 '가정 내 작업공구 관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면서 이 같은 내용의 수치를 발표했다.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4년(2018~2021년) 가정 내 작업공구 관련 안전사고를 조사한 결과, 전체 건수는 1070건으로 코로나19 이전엔 240건이었지만,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사고 건수는 655건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한, 가정 내 작업공구 관련 안전사고를 연령 별로 살펴보면 14세 이하 어린이 관련 안전사고가 18.1%인 194건 접수됐으며 65세 이상 고령자 관련 안전사고는 24%인 257건 접수된 것으로 드러났다.
14세 이하 접수 건의 82.5%가 3세 이하 유아에게 발생했으며 주 내용으론 나사 및 못을 삼키는 행위로 인한 체내 위험 이물질로 나타났고, 전체 글루건 관련 안전사고 86건 중 어린이 관련 안전사고가 68.6%로 확인됐다.
이는 3세 이하 '걸음마기'엔 손에 잡히는 것들을 입으로 가져가는 본능이 강해 유사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글루건 관련 안전사고인 경우 사용 후 방치한 잔여 글루건액에 화상을 입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65세 이상 고령자 관련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다리 관련 안전사고가 77.4%(199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장소는 정원·마당(82건)에서, 다치는 부위로 낙상에 따른 머리 및 얼굴(68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