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아슬아슬 위태롭던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부산시당) '공천뇌관'이 결국 터졌다.
12일 중앙당은 부산시당이 발표한 기초단체장 공천결과를 무효화하고, 당이 정한 지침에 따라 재심사할 것을 시당에 통보했다. 이는 공천에 탈락한 복수의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들이 문제 삼은 여론조사 미실시에 따른 공천불복에 대응한 중앙당 차원의 발 빠른 조치다.
이에 현재 시당 분위기는 마치 '동생 빵 뺐다가, 큰 형에게 흠씬 두들겨 맞은 얼굴'로 표현 가능하다. 그러나 부산시당이 범한 잘못은 비단 여론조사 미실시뿐만 아니다.
본지가 단독 입수한 중앙당이 시당에 보낸 공문에 적힌 진상조사 결과 내용을 보면 "공천심사 및 평가과정에서 당이 정한 온라인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수기방식으로 진행했다"고 적시돼 있다.
이와 관련해 '직권조사 결과에 따른 공천심사 지침'에 '중앙당이 선정한 조사기관에 의한 후보자 적합도 평가를 실시한 후 온라인시스템을 이용한 전면 재심사를 실시할 것'이라는 지침이 하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내용대로라면 시당은 중앙당이 공성성을 위해 내린 지침을 두 가지나 어기며 기초단체장 공천심사를 무리하게 진행해 스스로 의혹을 만든 셈이다.
12일 민주당 중앙당이 부산시당에 하달한 '기초단체장 공천재심사' 지침 공문 . 프라임경제 영남취재본부가 단독으로 입수했다, ⓒ 프라임경제
공천심사 결과 발표가 나오자 이미 예견했다는 듯 탈락한 예비후보자들의 불만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공천 과정에서 지역 내 인지도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평가기준인 적합도조사(여론조사)를 배제했기 때문이다.
이에 A후보는 "시당의 처사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마치 지역기반이 없는 낙하산공천자를 위한 배려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성토했다.
또 다른 B후보는"‘지난해 말 우리지역에 별다른 연고가 없는 한 여성후보가 선거운동을 시작했고 전략공천 내정자라는 얘기가 돌았는데 소문이 결국 현실이 됐다"며 역차별로 인한 억울한 심경을 내비쳤다.
이번 공천결과 여성후보는 모두 네 명으로 △북구 △금정구 △수영구가 단수, 영도구만 경선으로 분류됐다. 이는 민주당 여성위원회가 요구한 당선가능지역 기초단체장 여성비율(10%)과 견줘 단수로 결정된 후보만 놓고 보면 무려 세 배에 달한다.
부산은 지난 20여년간 단 한 명의 기초단체장도 배출하지 못해왔기에 애초 당선 가능지역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진단이 있다.
이에 대해 ㅂ 공관위원은 여성후보에게 다소 유리한 심사였음을 일부 인정했다.
그는 "여성 배려 차원에서 서류심사 20점 이상 차이일 경우 단수추천할 수 있는 당헌 당규가 있다"며 "공관위원 12명 중 여성이 절반을 차지한 것도 영향이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여성을 고려해달라는 최인호 시당위원장의 의견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최 시당위원장은 "모든 건 공관위의 판단과 결정에 따른 것"이라며 "공천 개입은 없었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또 "다른 시도당도 여론조사를 다한 건 아니다"라며 "보통은 중앙당에서 사무처장을 파견하는데 부산시당의 경우 지역당직자가 사무처장을 맡으면서 다소 소통이 부족했던 것 같다"고 행정절차상의 미숙함을 원인으로 들었다.
아울러 "이번 논란은 중앙당 지침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로 전면과 부분의 대한 오류였는데 중앙당의 공문에서도 밝혀진 바와 같이 시당공관위가 공정한 심사했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더 이상 논란이 확대되는 것을 경계했다.
그러나 최 시당위원장의 주장과 달리 본지가 입수한 한 장짜리 중앙당 공문에서는 '부산시당공관위가 공정한 심사를 했다'는 문구는 찾지 못했다.
한편 최 시당위원장은 현 공관위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재심사에 임할 방침이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