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6일 부산고용노동청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부산교통공사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특별근로감독 및 기획수사 요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지난 달 28일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및 노사관계 질서를 침해하는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를 뿌리뽑기 위해 주요사업장별로 특별감독 착수 등 본격적인 추진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이날 노조 측은 "성과연봉제 강제 시행과 강압적인 구조조정을 막기 위해 지난해 세 차례에 파업을 강행했지만 공사가 거짓 선전과 명예훼손, 부당직위해제 등으로 응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파업 돌입 후 성과연봉제 조정신청 및 취하 등 불법 파업 유도 행위와 노조 간부 40명에 대한 해고와 중징계를 남발하는 등 부산교통공사는 헌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단체행동을 무력화하기 위한 불법도 자행했다"고 꼬집었다.
현재 공사 측은 노조 및 간부들에 대해 15억5000만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와 8건의 고소고발을 제기한 상황이다.
노조는 노동부 특별근로감독 청원서를 제출하는 한편 △단체행동권 무력화를 위한 불법 선전과 선동 △불법 파업 유도를 위한 노조 파괴 시나리오 진행(부당직위해제 및 부당해고) △파업참여자에 대한 승진 및 표창 배제 △손해배상 청구 및 고소고발 남발 △조합 간부에 대한 부당 전보 △산업재해 은폐 △단체협약 및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의결사항 위반 등의 문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노조 측은 "공사의 노사관계는 부산지하철의 안정적 운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안전하고 편리한 부산지하철로 돌아가기 위해, 부산고용노동청은 공사의 불법적 노조탄압 행위에 대해 엄정한 특별근로감독 및 수사를 즉시 실시할 것을 요청한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교통공사의 비정규직 확대를 통해 1호선 연장구간 다대선을 개통하면서 1호선 고장 발생 건수가 작년대비 3.3배 증가했다. 또 지난 2월 당리역 환기구 충돌 사고와 5월 부산대역 신형차량 추진장치 사고, 6월 3호선 전차선 절단 사고 등 대형사고가 잇따르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