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서병수 부산시장은 6월5일 시청 기자회견장에서 국내 첫 상업원전인 고리1호기 영구 폐로를 앞두고, 그 동안 국가적 논란이 되어 온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한 입장과 탈원전의 대안인 클린에너지 부산시 계획을 밝혔다.
서 시장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서 공약으로 탈 원전 기조 속에 건설 중단을 공약한 만큼, 부산시는 신고리 5, 6호기가 건설 중단된다면, 탈핵으로 가는 큰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적극 환영의 입장을 표했다.
아울러 부산시는 고리 1호기 폐로 이후 원전해체 산업이 새로운 시장으로 열리는 만큼, 부산을 원전해체 산업의 거점으로 지정해 줄 것과 원전 소재 지자체로써 갖는 특수한 부담과 지역발전 저해를 감안해 지방세인 '핵연료세' 신설을 제안했다.
이어 탈원전에 대한 책임 있는 정책 대안으로 서 시장이 올해초 '클린에너지 부산'을 선언한 이후 부산시의 에너지정책의 전환 추진상황과 계획에 대해 밝혔다.
특히 클린에너지 정책의 전문성과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해 △3월 클린에너지 정책관(3급) 직제를 신설, 7월1일 최종 임용을 앞두고 있다는 점 △민·관협의체 기구 '에너지정책위원회'를 신설해 오는 7월 중 정식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 등을 알렸다.
현재 클린에너지 도시 실현을 위한 구체적 사업은 △ 해양에너지 R&D 기반시설 조성 △ 혁신도시 에너지 스마트시티 조성(마이크로 그리드 사업) △ 도시재생사업 분야 클린에너지 보급 △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이다.
서 시장은 "클린 에너지 부산의 실현은 시민의 참여와 성원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만큼 많은 시민의 성원과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