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시, 원도심 재도약을 위한 '자치구 통합방안' 검토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17.03.09 09:48:07

[프라임경제] 서병수 부산광역시장이 원도심 경쟁력 강화와 재도약 방안으로 자치구 통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원도심권 전체가 전반적으로 낙후된 상황에서, 급격한 행정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원도심 기능회복을 통한 경쟁력 높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원도심 4개 자치구(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의 통합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원도심 4개구(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통합 △원도심 3개구(중구, 서구, 동구)를 통합 △부산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2개구(중구, 동구)를 통합하는 내용들이 거론된다. 4개구가 통합되면 면적은 부산에서 6번째가 되고 인구는 해운대구, 부산진구에 이어 3번째가 된다. 

경제규모 확대로 지역의 집중투자와 집중개발 등을 통한 지가상승 등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 원도심 자치구의 지역내 총생산 규모는 중구 2950억원, 서구 2238억원, 영도구 1740억원 등 대다수가 최하위권. 그러나 향후 4개구가 통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1조1071억원 규모로 부산 내 1위인 강서구(9797억원)를 상회하게 된다. 

통합이 되면 정부로부터 각종 인센티브를 지원받게 될 것으로도 알려졌다. 재정적으로는 통합에 직접 사용된 비용 및 절감 경비 지원은 물론 통합청사 건립비를 포함한 특별교부세 등을 지원받게 된다. 통합구에 대한 특별법 제정을 통해 통합창원시와 통합 청주시의 경우 약 3000억원 정도의 국가보조금을 받은 바 있다.

또 각종 시책사업 시 우선적 지원을 받게 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재도약을 위한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서 시장은 "통합에 따른 주도권 다툼이나 통합구 명칭 및 통합청사 위치 선정에 대한 논란 등이 예상되나 시민단체, 학계, 전문가와 의회 등을 중심으로 한 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최종적인 결정은 주민이 하도록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