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시민문화연대,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부당판결 규탄

세월호 다룬 '다이빙벨' 상영관련 부산시 보복성 영화제 탄압 주장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16.11.01 11:55:49

[프라임경제] 최근 부산시에 의해 고발당한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전 집행위원장에게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판결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부당한 판결' '정치적 기소'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산시가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이빙벨' 영화상영 철회요구를 거부한 영화제 관계자들에게 1년 반이 넘는 기간 동안 정치적·행정적 권력에 의한 탄압을 일삼았다고 시민단체들이 주장하는 중이다. 영화 '다이빙벨' 포스터. ⓒ 부산국제영화제 다이빙벨 블로그

시민단체에 따르면,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가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이빙벨' 상영에 대한 부산시의 철회요구를 거부하자, 1년 반이 넘는 기간 동안 정치적·행정적 권력에 의한 영화제 탄압이 있었다. 이용관  전집행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한 것도 이어진 '탄압'이라는 주장이다. 

시민단체는 "영화제에 도덕성을 흠집냄으로써 표현의 자유와 문화의 자율성에 대한 탄압을 하고 있다"며 "본질적 이슈를 가리고자 하는 비겁하고 야비한 의도"라고 비난했다.

시민단체는 부당한 판결이라는 이유에 대해 지불했던 돈을 업체가 이미 반환해 피해회복이 이뤄진 사안이라는 점, 애초 이용관 전집행위원장의 사전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집행했다는 전임 사무국장의 일관된 진술이 있던 점을 들었다. 직접적 결재에 대한 명확한 근거도 없다는 점도 거론됐다. 

앞서 시민단체는 탄원서를 통해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이 부산국제영화제를 만들고 세계적 영화제로 키운 업적, 한국영화의 발전과 글로벌화에 했던 기여를 강조한 수천명 영화인들의 목소리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이번 판결에 대해 "소중한 문화적 공공재인 부산국제영화제를 함부로 훼손하려드는 반문화적 시도 그리고 헌신과 열정으로 그 영화제를 키워낸 인사에 대한 집요한 정치적 보복 모두를 절대로 용서하지도, 좌시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아울러 "판결의 부당성을 강력하게 성토하며,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명예회복을 위한 항소를 적극 지지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사법부의 공명한 독립적 판결이 이뤄질 때까지 문화예술인, 영화인, 그리고 문화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지하는 시민 모두와 함께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