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시중은행이 얻은 수수료 수입이 총 2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해영 의원(부산 연제·더불어민주당)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권 수수료 수익구조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대해 김의원은 "국내 은행 업계는 '땅 짚고 헤엄치기 장사'라는 비판을 받아온 수수료 수입을 매년 7조원 가까이 얻으면서도 경영 실패 등으로 최저 수준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수수료 수입을 살펴보면 CD/ATM수수료의 경우 3년간 수입액이 4953억원, 대출자가 대출금을 빨리 갚아 발생하는 대출금 조기상환 수수료는 수입액이 3년간 1조1661억원이다.
또 △3년 기준 방카슈랑스 판매 수수료 2조610억원 △수익증권 판매 수수료 1조8471억원 △기타 신용카드 수수료가 1조721억원 △전자금융 이체 수수료 7985억원 △프로젝트파이낸싱 수수료 4152억원 등이다.
김해영 의원은 "은행업계의 과도한 수수료는 국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된다"며 "적정수준의 통제를 위해서 합리적인 수수료 기준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