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BNK금융그룹(회장 성세환)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는 20일 '동남권 상장기업 경영실적 분석'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권에 본사 또는 주사업장을 두고 있는 상장기업의 성장성은 2013년부터 크게 낮아졌으며 2016년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은 평균적으로 전년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또 조선, 기계, 철강 등 동남권 주력 업종의 부진으로 매출액 증가기업 비중은 2013년 이후 60%를 하회하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의 경우 최근 6개 사업연도 중 가장 낮은 47.1%였다.
반면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14년 이후 개선 추세로 2016년 상반기에는 5.7%로 회복됐다. 성장성 둔화에도 원가절감 및 판관비 축소 등 이익 보전을 위한 자구노력 강화로 흑자기업 비중도 80.2%로 높아졌다.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개선되고 있으며 전기·전자, 건설, 비철금속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익창출 능력을 보였다. 수출 및 내수기업별 수익성 분석에서는 음식료, 건설 등 소비재 중심의 내수기업이 대외경기 악화로 부진을 겪는 수출기업을 앞섰다.
한편, 동남권 상장기업 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00% 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은 12.3%로 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다만 일부 수출기업 및 장기간 업황이 부진한 조선관련 업체의 경우 이자보상배율이 100% 미만이면서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하는 이중부실 상태여서 부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연구소는 전국 대비 저평가된 기업의 시장가치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IR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개별기업의 인식 개선을 강조했다. 동남권 코스닥 업체의 경우 2016년 상반기 중 IR개최실적 보유기업이 10개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정성국 BNK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동남권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성숙기에 진입한 주력산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R&D투자를 강화하고 품질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