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어 "연평균 지진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댐의 내진설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고강도 지진 발생 시 붕괴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11년 수문, 취수탑 등 댐의 부속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이 '지진대책법(14조)'에 명시됐고, 수자원공사는 2014년 취수탑의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한 바 있다는 점을 들었다. 평가 결과 17개 댐 취수탑 중 8개의 안전성이 부족했다는 것.
취수탑은 내진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다. 취수탑이 붕괴될 경우 △붕괴된 취수탑이 연쇄적으로 댐 자체를 파괴할 우려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등 물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된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국토부가 2015년 4836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댐 건설 및 댐치수 능력증대' 사업에 취수탑 내진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예산은 포함되지 않았고, 2016년 예산에서도 0원이었다"고 강조했다.
또 "2014년 내진성능평가에서 도면이 없다는 이유로 제외됐던 선암댐 취수탑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최 의원은 이날 'SOC 추경예산 편성'과 관련해서도 국토부를 맹비난했다.
최 의원은 "국토부가 개별사업의 여건과 진행 속도를 전혀 감안하지 않고 추경예산을 무책임하게 교부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몇 천억, 안전투자에 몇 천억 투입한다고 홍보하고 집행은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거짓 추경'이며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날을 세웠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