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TE가 5G보다 속도는 약 6배 느리면서 요금제는 최대 3배 비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신 3사의 LTE 평균 전송속도는 152Mbps로, 5G 평균 전송속도(896Mbps)보다 약 5.9배 느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통신 3사가 현재 판매하고 있는 5G·LTE 요금제 중 각각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데이터 제공량을 기준으로 1GB당 평균 단가를 비교했을 때 LTE의 1GB 단가는 약 2만2000원이며, 5G의 1GB당 평균 단가는 약 7800원으로 무려 3배가량 비쌌다.
실제로 SK텔레콤(017670)은 동일한 7만9000원 요금제이지만, LTE 요금제는 데이터를 100GB 덜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032640)의 경우 7GB 데이터를 제공하는 LTE 요금제는 5만9000원인 반면, 6GB를 제공하는 5G 요금제는 4만7000원으로 1GB를 추가 할당하고 가격 차이는 LTE 요금제가 1만2000원이나 비쌌다.
박 의원은 이처럼 단가 차이가 큰 이유는 통신 3사가 2019년 5G를 상용화하면서 5G 요금제 혜택이 확대됐지만, 기존 LTE 요금제는 투자가 마무리됐음에도 조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7월 통신시장 경쟁촉진방안을 통해 5G 단말기에도 LTE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요금제 가입 강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인 미국의 버라이즌(Verizon)과 AT&T △영국의 O2와 EE △호주의 텔스트라(Telstra), 옵터스(Optus) △일본 KDDI 등은 5G와 LTE를 구분하지 않고 요금제를 통합해 출시했다.
특히 박 의원은 일본 NTT 도코모는 5G 전용 요금제가 출시돼 있으나 온라인요금제를 통해 통합요금제를 출시도 함께 하고 있어 사실상 우리나라만 5G와 LTE 별도 요금제를 운용 중이라고 언급했다.
박 의원은 "즉각적인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를 위해 사업자들과 조속한 협상을 통해 5G·LTE 요금제를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궁극적으로 우리나라도 통합요금제로 개편을 통해 가계통신비 완화와 소비자 선택권 확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