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사우디·우크라' 향한 건설업계 시선, 호재인가 환몽인가

파급효과와 추가 수주 기대감…실현가능성과 수혜 가시화 "글쎄"

전훈식 기자 | chs@newsprime.co.kr | 2023.05.24 14:29:12

러시아군 공격으로 검게 그을린 우크라 건물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주택 시장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네옴시티 등 해외 대형 프로젝트가 이어지고 있다. 

사업권 하나만 성사하더라도 이에 따른 파급효과와 추가 수주까지 기대되는 만큼 정부까지 나서 '제2 중동붐'을 위한 치열한 수주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자칫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 적극적 태도 바탕 가시적 성과 기대

국내 건설사들이 1조달러(한화 약 1200조원) 규모 초대형 프로젝트 사우디 네옴시티 건설 사업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그기 시작했다. 

네옴시티는 사우디 북서부 네옴 지역에 △자급자족형 직선도시 '더 라인' △행상 부유식 첨단산업단지 '옥사곤' △친환경 산악 관광단지 '트로제나'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당초 2025년 완공 목표의 1차 개발계획만 5000억달러로 알려졌지만, 최근 더 라인 건설 예상 사업비가 1조달러로 늘어나는 등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사우디 네옴시티 사업 기대감이 점차 증폭되자 우리 정부는 국내 기업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수주단을 구성, 수주 세일즈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 국내 기업들이 관련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고 있어 이르면 연내 가시적 성과가 드러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우디 네옴시티 핵심 사업인 친환경 주거·상업 도시 '더 라인'. © 네옴시티 홈페이지


건설업계 관계자는 "네옴시티 관련 프로젝트 건수도 다양하고, 수주금액도 적지 않아 국내 기업들이 여러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라며 "수주는 경쟁을 통해 최종 선정되기에 장담할 순 없지만, 올해 내 실계약 사례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런 해외 대형 프로젝트는 사우디 네옴시티에 그치지 않고,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15개월간 지속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주요 국가와 기업들이 하나둘씩 재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위험을 무릅쓰고 우크라이나에 먼저 들어오는 기업에 보상하겠다"라고 공언한 만큼 조금이라도 빨리 움직이는 모습이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제2의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대형 인프라 구축사업이다. 사업 규모도 최대 8931억달러(한화 약 1186조4833억원)로, 각국 정부를 포함해 △국제통화기금(IMF) △유럽투자은행(EIB)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등이 차관 및 투자 형태로 추진할 기세다.

이처럼 엄청난 사업성을 확보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향한 우리 정부도 적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경제부 장관이 지난 17일 방한한 데 이어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직접 폴란드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재건부총리를 만나는 등 협력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원희룡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와의 재건사업 협력 업무협약도 체결하기도 했다. 자리에 참석한 아자르키나 차관은 내달 공개될 재건사업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한 달가량 먼저 제공할 것으로 약속하기도 했다.

건설업계는 이런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있어 에너지와 토목, 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직접적 수혜를 기대하는 눈치다. 

업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는 파괴된 인프라 복구에 그치지 않고, 시설 전반 현대화를 꾀하고 있다"며 "특히 주택시장 불황 장기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은 국내건설사들에 또 다른 기회"라고 설명했다. 

◆사업비 의문과 끝나지 않은 전쟁 "투자 실패시 후폭풍"

다만 일각에서는 이런 해외 대형 프로젝트가 '속 빈 강정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조심스레 언급되고 있다. 

우선 네오시티와 관련해 여전히 프로젝트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된다. 특히 '더 라인' 사업의 경우 500만명이 거주하는 친환경 수직도시로, 이를 위해 170㎞ 구간에 △폭 200m △높이 500m에 달하는 유리 장벽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쉽지 않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여기에 여전히 사업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은 동시에 사업비 확보도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시공만 하고 공사비만 받는 다른 해외 사업과 달리 네옴시티의 경우 기업에게 투자까지 요구하고 있다는 게 업계 후문이다. 과거 중동 사업에 있어 대금 수금 문제를 경험했던 국내 건설사들에게 있어 쉽지 않은 결정인 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안드레이 아담칙 폴란드 인프라부 장관과 면담하고 있다. ©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전쟁이 언제 종전될지 모르는 만큼 사업으로 인한 수혜가 언제 가시화할지는 미지수다. 실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전쟁 수행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재건사업에 따른 수혜도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난 2011년 일단락된 이라크 전쟁 후 시작된 재건사업에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했지만, 크게 재미를 보지 못한 바 있다. 

실제 건설사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은 투자금액 대비 확보 가능한 수주 물량 등 수익성을 계산하며 투자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업계 관계자는 "사우디 네옴시티나 우크라 재건 사업 모두 침체된 주택 시장 대안으로 충분한 사업성은 확보했다"라며 "다만 자칫 투자대비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엄청난 후폭풍까지 감당해야 하기에 건설업계 역시 쉽게 사업에 참여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현재 해외 대형 프로젝트 참여를 두고 선택의 갈림길에 놓인 건설업계가 향후 어떤 결정을 선택할지, 이를 통한 어떤 나비효과를 야기할지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