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월드에너지GH2 대륙 간 그린수소 상용화 1단계 프로젝트 개요 인포그래픽. © SK에코플랜트
[프라임경제] SK에코플랜트가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앞세워 글로벌 대륙간 초대형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핵심 플레이어로 참여한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17일 캐나다 월드에너지GH₂와 45억달러(한화 약 6조원) 규모 '뉴지오호닉(Nujio’qonik) 그린수소 1단계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존 리즐리 월드에너지GH₂ 회장 △션 리트 월드에너지GH₂ CEO를 비롯한 각사 임직원이 참석했다.
월드에너지GH₂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스티븐빌 지역에 기반을 둔 대규모 그린 수소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수년전부터 멤버사별 비즈니스 모델(BM) 근본 혁신을 주문한 데 맞춰 SK에코플랜트가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전환한 이후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뉴펀들랜드 섬에서 진행된다.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탄소 배출 없이 그린수소를 뽑아내고, 이를 다시 그린 암모니아로 전환해 유럽 등 타 대륙으로 운송하는 사업이다.
프로젝트명 '뉴지오호닉'은 원주민 언어로, '모래바람이 불어오는 곳(Where the sand blows)'이라는 의미다. 뉴펀들랜드 섬이 전통적으로 '바람 질이 좋은 곳'이라는 방증이자 프로젝트 현장이 풍력발전 최적지로 평가되는 이유다. 특히 캐나다 최동단에 위치해 유럽을 비롯한 타 대륙으로의 수출에 용이한 입지도 갖췄다.
3단계로 진행되는 사업 중 1단계 사업은 45억달러 규모로 진행된다. 전기 생산을 위한 육상풍력발전 약 1GW,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체산화물수전해기(SOEC)와 고분자전해질수전해기(PEMEC) 등 총 600㎿가 구축된다.
더불어 연간 생산되는 6만톤 가량 그린수소를 약 36만톤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그린암모니아 플랜트도 함께 건설될 예정이다. 그린수소 생산은 2025년 3월, 그린암모니아의 경우 2026년 3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약 15억달러(USD, 약 2조원) 규모 독점적 수주 기회를 확보했다. 전체 프로젝트 기본설계(FEED)를 비롯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를 공급, 설치한다.
SK에코플랜트는 이달 프로젝트 '수행 사전 절차' 개념설계(Pre-FEED)에 착수, 프로젝트 전체 틀까지 객관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여기에 풍력발전단지 EPC(설계·조달·시공) 참여 관련 논의도 진행하고 있다. 그린수소를 그린암모니아로 전환하기 위한 플랜트 EPC는 자회사 SK에코엔지니어링과 함께 맡는다.

캐나다 뉴지오호닉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 투자협약식에서 △오동호 SK에코엔지니어링 대표이사(사진 좌측부터)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존 리즐리 월드에너지GH₂ 회장 △브랜든 패딕 콜럼버스 캐피탈 CE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협약으로 사업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지분 20% 확보와 함께 EPC 독점적 수주기회를 확보하면서 대륙간 초대형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릴 전망이다. 실제 5000만달러(약 660억원) 규모를 투자해 사업개발에 참여하며, 향후 수전해 주기기와 그린암모니아 플랜트 EPC에 이르는 그린수소 사업 전 과정을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그린수소 기반으로 생산된 그린암모니아는 독일 등 유럽으로 수출된다. 캐나다와 독일 양국 정상은 지난해 8월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수소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양국간 '수소동맹'을 맺은 바 있다. 국가간 협약이 배경에 있는 만큼 사업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생산·저장은 물론, 그린암모니아 전환을 통한 북미-유럽 대륙간 이동까지 한 번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수소 생태계를 조기 실현하는 주요한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한편 수소 원자 3개와 질소 1개가 결합한 화합물 '암모니아(NH₃)'는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상온에서 쉽게 액화돼 '수소 저장, 운반체'로 각광받고 있다. 단위 부피당 저장용량도 액화수소보다 약 1.7배 가량 크다. 일반 암모니아는 이미 산업용·농업용으로 활용되고 있어 기존 저장·운송 인프라를 이용해 유통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이번 사업에 공급되는 블룸에너지 '수전해기(SOEC)'는 섭씨 850도에 이르는 고온 수증기를 활용하는 수전해 방식이다. 열에너지가 물에서 수소를 뽑기 위해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일부를 대체하기에 전기에너지가 적게 소모돼 수소 생산 효율이 높다.
SK에코플랜트와 블룸에너지는 암모니아 합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재활용해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추가로 줄이는 계획도 가지고 있어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젝트 주관사' 월드에너지GH2는 각각 2025년, 2026년에 그린수소 및 그린암모니아 생산 개시를 목표로 이미 사업부지 확보 및 사전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향후 풍력발전기부터 수전해 및 암모니아 합성 플랜트, 항구 출하시설까지 자체 인프라 구축이 예정된 상태.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SOEC 기반 그린수소 상업생산 역량을 강화, 글로벌 그린수소 및 수전해 시장을 지속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국내 최초 대륙간 그린수소 상용화 사업에 참여함에 따라 향후 더 많은 사업기회를 확보하는 데 유리한 입지를 선점했다"라며 "그린수소 밸류체인과 신속한 실행력,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그린수소 및 그린암모니아 선도기업으로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