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기자수첩] 높아진 'BNPL' 연체율…방치 땐 도미노 붕괴

 

황현욱 기자 | hhw@newsprime.co.kr | 2022.10.24 17:21:42
[프라임경제] 핀테크사들과 일부 카드사가 서비스 중인 선구매 후결제(BNPL, Buy Now Pay Later)의 인기가 높다. 문제는 연체율도 증가한다는 점이다.

BNPL은 결제 업체가 소비자를 대신해 먼저 가맹점에 대금 전액을 지불하고, 소비자는 결제 업체에 분할 납부하는 '후불결제' 서비스를 말한다.

BNPL은 지난해 4월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를 시작으로 선보인 혁신금융서비스다. 신용카드와 다르게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연회비도 무료이고 후불결제에 따른 수수료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들로 BNPL의 이용자는 매 분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후불결제 누적 가입자 수'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토스의 후불결제 누적 가입자는 75만2824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네이버페이(네이버파이낸셜) 55만1186명 △카카오페이 1만2901명을 기록했다. 토스가 BNPL 서비스를 운영한 지 반년도 안 돼 네이버페이 후불결제 이용자 수를 뛰어넘었다.

월별 이용액에서도 토스의 후불결제는 같은 기간 171억7500만원으로 네이버파이낸셜(109억5000만원)보다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BNPL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연체위험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현재 카드사의 연체율은 0.96% 수준이다. 반면에 네이버페이 연체율은 1.48%, 토스의 연체율은 1.15%를 기록하며 카드사의 연체율은 가볍게 제꼈다.

BNPL의 연체율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후불결제는 신용카드와 달리 연체를 하더라도 연체 정보가 공유가 안 된다. 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없다.

개인의 소득 수준을 넘어 과소비를 하고, 구매대금을 상환하지 않으면 BNPL을 제공하는 회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실제로 후불결제 할부 서비스를 제공했던 쿠팡도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BNPL 서비스는 해외에서 운영하는 BNPL 서비스 대비 한도도, 기능도 현저하게 폭이 좁다. 즉. 시범운영성격이 강하다. 시범운영임에도 늘어나는 연체율 관리가 안되고 있다는 점은 심각하다.

향후 BNPL 서비스가 한도가 늘고 '분할납부'가 가능하도록 기능이 확대가 될 경우 연체 규모는 더 증가할 것이다. 현재도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끼리 연체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다만, 연체 정보 공유는 기업의 소관이 아니다. 

BNPL은 씬 파일러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신용에 영향을 줘선 안 된다는 '혁신금융서비스' 부가 조건이 붙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BNPL의 연체율 앞에 기업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우리보다 일찍 'BNPL' 서비스를 도입한 해외에서도 BNPL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연체율이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의 대표 BNPL 기업인 어펌(Affirm)은 BNPL 연체율이 증가하면서 물품 대금 채권을 묶은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해 사업자금 일부를 조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부실채권이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이 ABS 매입을 중단한 바 있다. 또한 미국 금융소비자보호국(CFPB)도 지난해 말 미국 BNPL 서비스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했다.

스웨덴에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직불카드보다 BNPL 결제를 먼저 설정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금지했다. 이처럼 해외 각국에서는 BNPL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혁신서비스라는 좋은 취지로 시작한 BNPL은 우리 결제 시장을 업그레이드 해줄 요소는 분명하다. 그러나 증가하는 연체율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숙제다. 향후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돌아올 수 있어서다.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정부와 기업이 앞장서서 책임을 다 해야한다. BNPL의 연체율 방치로 피해를 보는 것은 국민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