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네 잇속이나 챙겨라. 살다보면 이런 말을 종종 듣는다. '잇속'은 이익이 되는 실속을 의미하고, 실속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알짜 이익을 말한다. 보통 잇속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쓰기 나름이다. 그래서 글로벌하게 바꿨다. 잇속에서 잇을 IT로. 인터넷 발달로 급성장한 IT시장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IT 정보, 우리 삶에 잇속을 챙겨줄 IT 기술들을 꽉 잡아볼 시간이다. 잇속에 밝은 자들 손에 쥐어줄 알짜 IT 소식들, 지금부터 시작한다.
◆KT·LG전자, 서비스로봇 사업 고도화
KT(030200)가 LG전자(066570)와 손잡고 차세대 서비스로봇 연구개발과 사업화에 나선다.

LG전자가 KT와 손잡고 국내 서비스 로봇 사업 확대에 나선다. 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LG 클로이 서브봇(서랍형), LG 클로이 UV-C봇, LG 클로이 가이드봇, LG 클로이 서브봇(선반형). ⓒ LG전자
KT와 LG전자는 17일 서울 강서구에 있는 LG사이언스파크에서 국내 서비스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LG전자의 고도화된 로봇 제조 역량과 KT의 서비스 분야 역량의 결합을 통한 신사업 기회 발굴, 차세대 로봇 연구개발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국내 서비스로봇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플랫폼 구축, 정부의 로봇 과제에 대한 협력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해 나가게 된다.
KT는 지난 2019년 12월 처음 선보인 'AI호텔로봇'을 시작으로 F&B(식음료) 배달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KT의 강점인 전국적 통신·관제 인프라와 숙련된 기술인력이 로봇사업 확대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에서 'LG 클로이 가이드봇'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LG 클로이 서브봇' 2종, 'LG 클로이 바리스타봇' 등을 출시했다. 이어 최근 자율주행 기반의 차세대 물류 로봇 'LG 클로이 캐리봇'을 새롭게 출시하면서 총 7종의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LG 클로이 로봇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KT는 앞으로 LG전자가 보유한 다양한 서비스로봇들을 신속히 고객 생활 속으로 전파하고, 축적된 고객 경험을 기반으로 새로운 로봇 개발에도 협력할 계획이다. 양사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추진하는 한편, 국내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상호 협력한다는 목표다.
◆LGU+·KT, 무제한 콘텐츠 이용 가능 'V컬러링' 개편
LG유플러스(032640)와 KT가 숏폼 영상 기반의 보이는 통화연결음 서비스인 'V컬러링' 요금제를 개편하고, 신규 가입자 대상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V컬러링 모델인 아이돌그룹 '아이브'가 V컬러링을 소개하는 모습. ⓒ LG유플러스
V컬러링은 고객(수신자)이 미리 설정한 영상을 통화연결 시까지 상대방(발신자) 휴대전화에 보여주는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다. 이통 3사는 2020년 9월부터 V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입한 통신사와 관계없이 V컬러링을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KT는 V컬러링 이용 고객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일부 유료 콘텐츠 이용 시 부과되던 별도의 이용료(1650원)를 없애고, 기본 월정액(월 3300원)으로 숏폼 콘텐츠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도록 개편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별도 비용 부담 없이 아이돌·애니메이션·셀럽·풍경 등 1만2000개의 다양한 숏폼 영상을 제한없이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017670)은 지난 2일 동일하게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개편을 시행한 바 있다.
월정액 개편과 함께 V컬러링 기능도 업그레이드했다. V컬러링 이용 고객은 발신자별 또는 시간대별로 상황에 맞는 영상 콘텐츠를 각각 설정할 수 있고, 매번 번거롭게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새로운 영상을 보여주는 '자동 설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 D2SF, 헬스케어 스타트업 2곳에 신규 투자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헬스케어 스타트업 2곳에 신규 투자했다. 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개인 맞춤형 웰니스(Wellness) 플랫폼을 개발 중인 '가지랩'과 유전체 분석 기반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개발한 '프리딕티브'다.

(왼쪽부터) 프리딕티브 윤시중 CSO 윤사중 대표, 가지랩 김영인 대표, 가우디오랩 오현오 대표, 지이모션 인연수 CBO. ⓒ 네이버
가지랩은 개인 맞춤형 웰니스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설문을 통해 개인의 문제를 파악하고 영양∙운동∙수면∙휴식 등 웰니스 전반에 걸쳐 최적의 솔루션과 커뮤니티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개인의 건강 상태와 니즈를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설문 시스템을 설계 중이다. 올 하반기 MVP(Minimum Viable Product) 테스트를 거쳐 내년 정식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프리딕티브는 북미 스타트업으로, 유전체 분석 정보를 담은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질병 및 약물 민감도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분석 범위와 정확도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갖고 있으며, 현재 손톱 채취 방식으로 2만여 개 유전자를 분석해 2만2500여 개 질병, 780여 개 약물 민감도를 예측하고 있다. 최근 미국 의료진 대상의 베타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미국, 영국 등의 기업·국가기관과 사업 협력을 논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