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이BIO] 대웅제약·진스랩·GC녹십자·경희의료원 외

 

추민선 기자 | cms@newsprime.co.kr | 2022.06.30 12:13:58
[프라임경제] 6월30일 제약·병원 및 바이오업계 소식. 

대웅제약(069620)은 지난 29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청각재활연구소(이하 연세대 청각재활연구소)와 난청 치료제 개발을 위한 줄기세포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

연세대 청각재활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전주기적 청각 연구소로 난청 진단, 치료 및 연구에 특화됐다. 나노입자로 자극된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형태의 난청 치료제로 급성 난청의 주 원인인 손상된 유모세포를 치료하는 비임상 연구에서 성과를 확인해, 오는 2024년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계약으로 임상 1상 시료 제작을 위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은행(MCB, Master Cell Bank) 구축에 협업하게 된다.

대웅제약은 지난 29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청각재활연구소와 난청 치료제 개발을 위한 줄기세포 위탁개발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 대웅제약


대웅제약은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과 MCB 구축 등 난청 치료제 임상 1상 시료 제작을 위한 초기단계 확립을 담당한다. 자사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나노바이오융합기술[3]을 줄기세포에 접목하며, 의약품 제조시설(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기술 정립 및 표준화 등 선진 기술의 산업화 및 상용화를 지원한다.

유전체 기반 분자진단 전문기업인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는 아프리카 풍토병인 '원숭이두창'의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U-TOP™ MPX Detection Kit'를 개발했다.

'U-TOP™ MPX Detection Kit'는 성능 및 안전성에 대한 검증을 마치고 지난 10일 유럽통합인증규격(CE) 체외진단(IVD) 인증을 받았다. 현재 수출용 및 국내 시판용 제품으로 허가 절차를 밟고 있으며, 이미 중동 및 미국 등에서 제품을 주문받아 조만간 첫 수출이 이뤄질 예정이다.

'U-TOP™ MPX Detection Kit'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유전자검사법(real-time PCR)으로 검체 채취 후 1시간 이내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를 판별할 수 있다.  

GC(005250·녹십자홀딩스)의 자회사인 분자진단 전문기업 진스랩이 70분만에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진단키트(GCdiaTM Monkeypox Virus Detection Kit)를 개발했다.

진스랩은 자체 생산 효소와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CR)기술의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제품을 만들었다.

회사측은 경쟁사 대비 단축된 검사시간에도 불구하고 이 제품의 분석적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다는 것을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에 개발된 키트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속해있는 올소폭스바이러스(Orthopoxvirus Genus)를 폭넓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검출된 바이러스에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키트다.

현대약품(004310)이 한국피부임상연구센터에서 진행한 임상시험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 랩클의 '랩클 프레스티지 펩타이드20 크림'(이하 크림)에 대한 보습력을 입증했다.

현대약품은 최근 안면 및 전박 부위에 피부 이상 소견이 없는 30~55세 여상 지원자 20명을 대상으로, 크림 제품 1회 사용 전후 피부 상태에 대해 측정했다.

시험 결과, 1회 도포 후 보습력은 24시간 지속됐으며, 피부 속 수분량은 91.53% 개선, 피부 결(거칠기)은 최대 5.81% 감소, 피부 윤광은 50.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원자들이 작성한 주관적 설문평가에서는 피부결, 건조함 개선 등에서 지원자의 94%가, 제품 사용성에 관한 설문평가에서 지원자의 95%가 긍정적으로 응답하며 제품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GC녹십자(006280)는 국내 혈우병 환자용 개인맞춤형 소프트웨어 'WAPPS-HEMO(왑스-헤모)'를 출시했다. 국내 제약사 가운데 이와 같은 제품을 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WAPPS-HEMO'는 GC녹십자의 혈우병 치료제 '그린진에프'와 '그린모노'를 처방하는 의료진이 환자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예측해 적절한 투여 용량 및 간격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환자는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예측된 혈중 응고인자 수치를 확인해 주도적으로 질환을 관리할 수 있다.

GC녹십자는 국내 혈우병 환자용 개인맞춤형 소프트웨어 'WAPPS-HEMO'를 출시했다. © GC녹십자


이 소프트웨어는 GC녹십자가 캐나다 대학 2곳(맥마스터대학 및 워터루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들 대학이 보유한 플랫폼에 GC녹십자의 '그린진에프'와 '그린모노'에 대한 집단 약동학(Population PK)모델을 탑재해서 완성한 것이다.

최근 혈우병 환자의 혈액 응고인자에 대한 용법 용량 결정방법은 몸무게(kg) 기반에서 환자 개인별 약동학(Pharmacokinetics, PK)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 혈우병 환자마다 혈액 응고인자에 대한 반감기 등 약동학적 프로파일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몸무게 기반으로 개인별 용량 용법을 예측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

JW신약(067290) 산하 연구법인 JW크레아젠은 의약품시료 전문 유통기업인 닥터바이오와 연구개발용 사이토카인에 대한 위탁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닥터바이오는 JW크레아젠이 자체 제조한 사이토카인을 국내 바이오기업과 연구·교육기관 등에 공급한다.
 
사이토카인(Cytokines)은 인체에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면 이에 대항하기 위해 몸속 세포들이 분비하는 면역반응 물질이다. 사이토카인은 과도하게 활성화하면 각종 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서 여러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약, 체외진단키트 연구·개발(R&D)에 활용된다.
 
JW크레아젠은 자사의 세포치료제 R&D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효율·고순도의 사이토카인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HumanGM-CSF △Human IL-4 △Human IL-2 등 시장의 수요가 많은 40여 종의 사이토카인을 제품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있으며, 향후 100여 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JW크레아젠의 사이토카인은 고가의 해외 브랜드 제품과 동등 이상 수준의 활성도를 갖추면서도 가격은 약 20% 저렴하다. 사이토카인 순도 역시 평균 98% 이상이다. 또 액상 제형으로 연구자가 별도의 용액을 섞지 않아도 돼 사용 편의성이 높다.

경희의료원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와 함께 아시아 유일의 국제적으로 공인받은 '미국영양사 양성 의료기관이자 실습대학원'으로 재인증에 도전한다. 

지난 27일 미국 '영양학 교육인증위원회(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Education in Nutrition and Dietetics, 이하 ACEND)'의 현지실사단(단장 조지아주립대학교 바바라 홉킨스 교수)이 방문해 간담회 및 현장실사, 질의응답 등 재인증을 위한 평가가 진행됐다. 본 실사는 경희대학교 김성완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경희의료원 우미혜 팀장 및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박유경 교수 및 임현정 교수, ACEND 바바라 홉킨스 교수 등 총 10명이 참여했다.

김성완 경희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ACEND로부터 2008년에 첫 인증을 받은 후 6년마다 현장평가를 진행하고 있고 올해는 3번째 실사이다.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임상영양사 교육 뿐 아니라 의료기관의 환자식이 국제적 수준을 인정받았다고 생각된다"며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와 함께 아시아에서도 유일한 국제임상영양사 양성 의료 및 교육기관이란 점에서도 기쁘다. 실사단에서 학교와 병원, 학생들 간의 연계가 잘 돼 있고 프로그램이 상당히 체계적이란 평을 들었는데, 본 실사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감을 밝혔다.

임상영양사는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들에게 영양전문가로서 자문역할을 하며, 환자 진료 회진에도 참여해 환자의 영양 상태 개선을 통한 질병 치료 효과를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문인력이다. 임상영양사를 통해 영양불량환자에게 영양 상태 회복과 질병 치료를 위해 경구, 경장 또는 정맥으로 영양소를 제공하며 영양교육과 상담을 시행하는 것을 임상영양서비스라고 한다. 

국내에서 최근 몇 년간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환자 맞춤형 영양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경희의료원 영양팀은 의료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중환자 관리를 위한 영양지원 활동과 환자의 신체계측, 생화학적 검사, 신체징후 등을 기반으로 영양상태 평가, 영양 관련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환자 대상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식을 제공하는 한편 환자 스스로 질병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차 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은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을 맞아 '산업·중대재해 Zero'를 선언하고 시설을 점검하고 보완하기 위해 안전 라운딩을 실시했다.

강중구 병원장, 강재신 행정부원장, 김현주 간호국장 등 병원 주요 보직자와 직원안전보건파트, 시설팀 등 유관부서 관계자들이 병원 시설을 점검했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정적인 전원공급 △화재 안전 점검 △ 잠재적 위험요인  점검으로 각 부서 관리자와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논의했다.

차 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은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을 맞아 '산업·중대재해 Zero'를 선언하고 시설을 점검하고 보완하기 위해 안전 라운딩을 실시했다. © 차병원


일산차병원은 내원객과 임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안전한 진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난 3월 직원 안전보건파트를 신설하고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선포했다.

한편 일산차병원은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을 맞아 직원들에게 안전 의식을 고취 시키고 공감대를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했다. 산업안전 보건 퀴즈 이벤트를 비롯해 안전보건 포스터 전시, One Day 힐링 프로그램, 직원 정신건강 특별 강좌 등을 진행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