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갈 길 급한 KT 구현모, 무리한 '지주형 회사' 개편 "악수"

누구를 위한 사업구조 재편?…공공성 망각한 KT '무리한 탈통신'

이인애 기자 | 92inae@newsprime.co.kr | 2022.04.05 18:40:57
[프라임경제] 구현모 KT(030200) 대표가 최근 지주형 회사 전환 계획을 공식화한 것으로 두고, 업계가 KT가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국가 기간 통신망 사업자로서의 책임보다 기업가치 제고에 치중하는 배경을 두고 연임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달 1일 KT가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IDC) 사업부를 분사한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KT가 지주형 회사 전환을 위한 신호탄을 쐈다고 평가한다.

이달 1일 KT가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IDC) 사업부를 분사한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KT가 지주형 회사 전환을 위한 신호탄을 쐈다고 평가한다. ⓒ 연합뉴스


지난 2020년 취임 당시부터 주가 부양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며 KT 기업 가치 띄우기에 주력한 구 대표는 지난달 31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지주형 전환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BC카드(KT 지분율 69.54)와 케이뱅크(BC카드 지분율 34.0%)를 각각 자회사·손자회사로 두고 있는 KT는 금산분리 규정에 따라 지주회사가 될 수 없다. 공정거래법에는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을 분리하기 위한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비금융 회사가 금융 자회사 주식을 보유할 수 없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KT가 BC카드와 케이뱅크를 포기할 리 만무하다. 해당 사업들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지주회사로 전환하고자 포기하기엔 사업적 손해가 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을 피하고자 KT가 선택한 방법은 '지주형 회사'로의 개편이다. 지주회사는 아니지만 이에 준하는 형태로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다는 게 업계에서의 평가다.

구 대표는 취임 후 △금융 부문은 'BC카드' 중심으로 △미디어 부문은 '스튜디오지니' 중심으로 계열사를 묶었고 △클라우드/IDC(인터넷데이터센터) 사업을 분할했다. 업계에선 이 같은 행보가 각 사업을 자회사 형태로 분할해 지주형 회사로의 변화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지주비율이 50%를 넘으면 지주회사가 돼 네트워크 자산 및 무형자산은 KT에 존속하면서, 분할된 자회사로 서비스(판매·운영)만 넘길 가능성이 높다. 주파수 확보 및 설비투자비(CAPEX)는 KT가 수행하고, 각 자회사는 KT와의 계약을 통해 서비스 개발·운영·판매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KT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유형·무형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48.5% 수준이기 때문에 지주회사 기준을 넘지 않고도 비슷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상황이다.

지주형 회사로의 변화를 통해 구 대표는 연임을 노릴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지주형 회사로 진화한 KT의 기업가치가 상승하면 임기 말 구 대표의 치적이 될 공산이 크기 때문.

그러나 구 대표의 이 같은 노림수를 두고 비판 여론도 만만치 않다. 통신사업자로서의 책임을 뒷전에 둔 모양새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적인 통신장애를 일으킨 KT가 올해도 IPTV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음에도, 설비투자를 등한시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KT의 지난해 설비투자(CAPEX)는 2조8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169억원 줄었다. 

소위 전쟁이 터져도 가동돼야 할 국가기간통신망이 외주업체 직원 실수로 먹통이 되는 망신을 당했음에도 정신을 못 차렸다는 지적을 받는 상황이다.

구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총까지 보장돼 있지만 실질적으로 올해가 마지막이다. 연임을 위한 성과를 보여줄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얘기다. KT의 지주형 회사 전환을 통해 주가를 부양해야 연임의 명분이 생긴다. 

업계에선 이 같은 이유가 구 대표가 무리수를 둔 배경일 것으로 분석한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와 업무상 횡령 혐의를 받고 있는 구 대표로가 웬만한 성과로 여론을 반전시키기엔 무리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구 대표가 KT 기업구조 전환을 완성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며 "주가 부양의 동력이 되는 지주형 회사로의 전환 과정에서 CEO 유지의 명분을 찾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로 있는 KT의 일탈이 국민 노후자금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생각하면, 개인의 욕심에 따라 사업 방향이 정해져선 안 된다"며 "민영화가 됐다고 국가기간통신망 사업자로서의 공공성도 망각해선 안 된다"고 일갈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