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의료계 전 직역의 뜻을 모아 강력한 행동으로 대응해 나가겠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의대생들에게 국가고시(이하 국시) 재응시 기회를 주지 않는 정부를 규탄하며 의정협의체를 거부하고 나섰다.
의협은 29일 성명서를 통해 "의대생 국가시험 응시 문제를 도외시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에 대해 의사국시 해결 없는 의정협의체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 보건의료체계의 파국을 막기 위해 교수, 전공의, 개원의, 봉직의 등 의료계 전 직역의 뜻을 모아 강력한 행동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복지부가 비겁한 책임회피와 비열한 인질극에 재미를 붙이는 동안 사상 유례가 없는 2700여명의 신규의사 공백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배출이 예정된 의사인력의 약 10%만이 현장으로 투입됨으로써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대혼란이 유발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한 연차의 의사 인력의 90%가 사라지게 된다면 이로 인한 충격은 수년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주변 의료인들의 업무부담 가중과 수련환경의 악화는 물론,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양과 질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계속해서 "의대생의 국가시험 응시는 의대생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건의료체계의 유지와 국민의 건강권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 지부가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어떠한 대책도 없이 의료계와의 자존심 싸움에 골몰하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최대집 의협 회장도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더 이상의 대화는 무의미하며 비타협적 전국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의협은 '강력한 행동' 혹은 '비타협적 전국투쟁'이 지난 8월 의협이 주도했던 의료계 파업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국시 재응시를 허용하는 데에는 국민들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의정협의체의 선제 조건으로 의대생 국시 문제를 거론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강도태 복지부 2차관은 "국시 재응시는 의정협의체 논의 과제에 없다"며 "의정협의체의 선제 요건으로 국시 재응시를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