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이용자 5명 중 1명은 스마트폰 과의존인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스마트폰이 일상에서 가장 우선시 되는 활동이 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해 신체·심리·사회적 문제를 겪는 상태다.

연도별·대상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 비율은 20.0%로 전년 대비 0.9%p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 보면, 유아동(만3~9세)의 과의존 위험군이 전년 대비 2.2%p 늘어나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성인(만20~59세)과 60대의 과의존 위험군도 매년 증가 추세를 이어갔고, 2018년 다소 주춤했던 청소년(만10~19세)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2019년에는 증가 추세로 전환됐다.
특히, 유아동과 청소년의 과의존 위험은 부모가 과의존 위험군이거나 맞벌이 가정인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 사회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인식은 조사 대상자의 78.7%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과의존 위험군(83.9%)이 일반사용자군(77.5%)보다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의존 해소방안으로는 △대체 여가활동(문제 해결주체가 개인인 경우) △과다 사용에 대한 안내·경고문 제시(기업인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한 교육(정부인 경우)이 각각 1순위로 꼽혔다.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 경험율은 전년 대비 0.9%p 증가한 18.7%였다. 예방교육 경험자 중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도 70.6%로 전년 대비 5.9%p 늘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스마트폰 등 각종 디지털 기기에 노출되는 빈도가 점점 커지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는 우리 스스로 디지털 기기에 과하게 의존하지 않는지 성찰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부는 개개인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유익하게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방점을 두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교육, 과의존 예방 콘텐츠 개발, 민·관 협력 인식 제고 활동 등 다각도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해소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스마트쉼센터'를 통한 예방교육과 전문상담, 민·관 협력 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유아동은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스마트폰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조기에 형성하도록 유아동 대상 체험형 예방교육을 확대한다.
더불어 관계부처와 협력해 디지털 역기능 예방·해소서비스를 통합 안내할 수 있는 누리집을 올해 안으로 구축·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