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연이은 ESS 화재…원인은 "정부 부실조사 탓?"

ESS 화재 관련 방지책 내놓은 뒤에도 화재 5건 발생

오유진 기자 | ouj@newsprime.co.kr | 2019.10.29 16:41:48

경남 김해시 한림면 장방리 한 태양광발전설비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불이 나 화염과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지난 27일 경남 김해시에서 ESS 화재가 또다시 발생했다. 문제는 정부가 ESS 화재 관련 방지책을 내놓은 뒤에도 화재가 계속돼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7일 경남 김해의 한 태양광발전설비 ESS에서 불이 나 ESS실 일부와 리튬 배터리 모듈 297개가 탔으며 재산피해는 약 7억원이다. 김해 ESS 설비에배터리는 삼성SDI, 전력변환장치(PCS)는 윌링스가 각각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ESS 화재는 지난 2017년 8월 전북 고창에서 첫 화재가 발생한 이후 이번 화재를 포함해 국내에서만 총 28건이 발생했다는 불명예 기록을 안게 됐다.

업계에서는 ESS 화재가 연이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에는 '정부' 책임이 크다고 지적한다. 이는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에도 ESS 화재가 5건이나 발생했다는 점과 2차 사고조사위원회가 소집됐지만 조사단에 정부가 참여하지 않아 제대로 된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앞서 민관합동 ESS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ESS 화재사고 원인을 '복합적인 시스템 결함'으로 결론을 낸 뒤, △PCS 안전관리 의무대상 지정 △정기점검주기 단축 △전 사업장에 전기적 보호장치 및 비상정지 장치 설치 등의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측은 민간 위주 2차 조사단을 꾸린 이유에 대해 "민간 차원에서 조사한 뒤 대책을 마련하라는 취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LG화학(051910)과 삼성SDI(006400) 등 배터리 제조업체들 역시 ESS 화재 원인 규명에 애를 먹고 있는 모습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동일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해외 ESS 사업장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데 국내에서만 화재가 계속 돼 갑갑한 상황이다"고 한탄했다. 

특히 ESS 화재가 계속되자 국민들의 불안감은 확산되고 있다. 실제 전국에 ESS가 상당수 설치돼 있어 언제든 화재사고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일 윤한홍 의원(자유한국당)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국 ESS 설치 현황을 제출받아 전수 조사한 결과 전국 ESS 설치 장소 1490곳 중 56 곳이 다중이용시설이다.

화재 발생시 전동차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지하철역의 경우 서울 중구 지하철 2호선 1개역과 경기 고양시 3호선 2개역에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전국 대학 21곳을 비롯해 △병원 △대형마트 △시장 △극장 △초등학교 △도서관 △미술관 △군부대 등에도 ESS가 설치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 의원은 이와 관련 "국민들은 시한폭탄을 끼고 사는데 문재인 정부는 위험성도 제대로 알리지 않고 ESS 확대에만 혈안이 돼있다"며 "원인도 모르는 화재 위험이 상존하는 해당 ESS에 불이 날 경우 인명피해는 물론 주요 기업의 생산차질도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