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네티즌들, “보조금, 사용기간만 기준으로 해야”

박효정 기자 기자  2006.05.08 17:29:0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네티즌들은 가입기간과 월사용요금을 고려해 보조금을 차등지급하는 현행 보조금제도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이동통신 사용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세티즌’에서 지난 3월21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휴대폰 보조금 관련 설문조사에서 8일 현재 8800여명이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나타난 결과다.

통신사 보조금의 지급형태에 대한 물음에 대해 설문참가자들 중 절반 이상인 4961명(56.2%)은 “18개월간 사용함에 따른 보상 개념의 보조금이므로 개인차별없이 동일금액을 지급해야 한다”는 보기를 선택해 현행 보조금제도에 불만을 표시했다.
     
이는 1589표를 얻어 18%를 차지한 “개인별 월 사용료에 비례해서 지급해야 한다”는 생각이나 14.6%의 지지를 얻은 "의무기간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합친 42.6%보다도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 것이다. “약정할인 요금제와 유사한 보조금 요금제를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은 5.7%, 기타의견도 5.5%에 지나지 않았다.

답변자의 70% 가량이 기기변경을 하겠다고 대답한 가운데, “기본 보조금 이외에 얼마를 더 지원받으면 번호이동으로 휴대폰을 구매하겠는가?”란 질문에 대해 “20~30만원이상(22.9%)”, “10~20만원이상(13.8%)”이라고 답해 보조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을 공짜로 주는 경우에만 번호이동한다”는 답변도 10%에 달해 “10만원 정도면 이동한다(4%)”는 의견을 가볍게 제쳤다. 반면 “보조금 규모와 상관없이 기변(보상)한다”는 의견은 20% 가까이나 됐다.

이러한 결과는 이번의 보조금제도가 이통사간 ‘고객 서로 뺏고 빼앗기’가 아니라 ‘기존 고객에 대한 서비스 차원’이라는 정통부나 이통사의 의도가 적중하긴 했으나 그 구체적 수준에 대해서는 이통사와 소비자들 간에 괴리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보조금은 누가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통신사가 부담해야 한다(45.4%)”와 “통신사와 제조사가 (함께) 부담해야 한다(41.4%)”는 의견이 팽팽한 가운데 “정부에서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9.5%의 수치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반면 “제조사가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은 1.4%에 그쳤다.

또한 네티즌들은 보조금 허용 이후의 휴대폰 시장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사용자들이) 기대치 이하의 보조금 지급으로 실망할 것이다”라는 의견이 4753표를 얻어 53.8%의 지지를 얻은 것. “제한없는 보조금 경쟁으로 혼탁, 과열되는 혼란이 반복될 것이다”라는 매우 부정적인 의견도 14.2%를 차지했다.

반면 “기존 가입자를 우대하는 통신사의 정책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라는 긍정적 전망은 29.3%에 불과해 68%를 차지한 부정적 전망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