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자부는 최근 남미 정권들의 자원 국유화 선언과 이같은 움직임의 확산과 관련해 관계부처와 참여 기업을 중심으로 민·관 합동 대책반을 구성해 이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산자부에 따르면 대책반에는 산자부 등 관련부처와 석유공사·SK·대우 등 진출기업 6개사가 참여하고, 현지 주요 대사관과 업체 사무소와도 긴밀한 협력체제를 유지한다.
남미는 한국의 해외 석유개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남미 자원 국유화 정책이 확산 될 경우 현지 진출 기업들의 투자손실과 함께 신규사업 진출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05년 볼리비아와 베네수엘라 자원 개발에 참여한 한국 기업은 베네수엘라에 석유공사, 페루에 진출한 SK와 대우 등 6개 기업이 총 13개의 광구에서 천연가스와 유전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산자부는 4일 대책반 회의를 개최하고 이를 통해 남미 사업 전반에 대한 점검과 향후 페루 등 여타 남미 지역국들과의 자원협력위원회를 활용 및 자원 국유화 대책팀의 현지 파견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은 지난 5월 1일 자원 국유화를 전격 선언한 바 있다. 이 선언은 에너지 자원 민족주의를 표방한 남미 정권들의 연대라는 틀 속에서 나온 선언이어 산자부는 대책반을 세워 이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