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증권업계가 지금결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보를 내디뎠다.
한국증권업협회(회장 황건호)는 28일 개최한 증권사 사장단 간담회를 갖고 증권업계의 지급결제업무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한국증권금융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사장단은 증권업 지급결제 기관으로 전산구축 및 운영측면의 노하우를 갖춘 증권예탁결제원과 한국증권금융 중에서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IT 등 하드웨어에 대한 노하우도 중요하지만 업무처리방법, 지급결제리스크 관리를 위한 담보비용, 유동성 지원 등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를 잘 갖츤 한국증권금융이 증권회사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지급결제업무란 금융기관의 계좌를 통해 돈을 입·출금 하는 기능으로 금융업무의 핵심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지급결제기능은 은행에만 주어져 왔고 은행은 이를 통해 전 금융권의 맏형으로 큰 기득권을 행사해 왔다.
그러나 재정경제부는 비 은행권에 지급결제기능을 부여한다는 방침을 지난 2월경 천명한 바 있다.
이후 증권업계는 증권업협회를 주축으로 지난 3월초 13개 증권회사 실무자가 참여하는 추진작업반을 구성하여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는 한국증권금융을 중심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금융결제원의 지급결제시스템 및 각 증권사들의 IT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증권업계의 지급결제를 위한 IT시스템이 완비되고 자본시장통합법이 공포된 후 한국증권금융이 금융결제원에 가입하면 제2 금융권 최초로 증권업계가 지급결제기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보험·자산운용 등 타 금융권에서는 증권업계의 이같은 시도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와관련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급결제기능은 은행·증권 뿐 아니라 보험에서도 필요하다"며 "현재로는 증권업계의 시도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보험권의 또다른 관계자도 "방카슈랑스, 어슈어뱅킹 등 통합금융 환경 속에서 제기되고 있는 업권간 불균형에 대한 문제제기도 지급결제기능의 공유를 통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은행권은 "지금까지 지급결제기능은 은행의 고유기능이었다"며 역차별론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