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유사와 아스콘조합이 첨예한 가격 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이하 아스콘조합)측은 정유회사가 아스팔트 가격을 2005년 9~11월사이에 52.4%인상한데 이어 2006년 3월초에 또다시 12.5~15.6%를 인상했다며 이같은 원재료 인상폭은 너무 과도하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 |
||
※ ( )는 2005년 03월 대비 누계 인상률임. | ||
정유업체는 아스팔트 가격 인상은 국제 유가 변동을 반영했을 뿐이라 답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같은 정유업체의 주장에 대해 아스콘조합측은 같은 기간동안 원유는 26%, 휘발유는 4%, 벙커C유는 36%오른데 반해 아스팔트 가격만 70%가 올랐다고 반박했다.
정유회사측은 아스팔트를 제조하는 것보다 벙커C유 상태로 동남아 쪽에 수출하는 것이 업체측으로보면 더 이익이라며 벙커C유 가격에 비해 아직 아스팔트 가격이 낮은 상태라고 강변했다.
한편 대한석유협회측도 아스팔트는 벙커C유와 생산공정이 같고 경제성에 따라 아스팔트나 벙커C유 중 어느 쪽으로도 생산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지금까지의 아스팔트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가격 인상분을 적기에 반영하지 못했지만 현재의 가격인상은 다만 가격을 현실화해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아스콘조합은 산업자원부에도 진정을 냈으나 정부 개입은 어렵다는 답변만을 받았다. 시장에서 일어나는 가격 결정에 대해 유류가격 자율화 이후 정부 개입은 불가능하다는 원칙적인 답변이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를 위한 자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스콘조합의 윤진원 과장은 “아무리 유가 인상분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있을 수 없는 가격 인상이라며 이같은 대기업의 횡포는 397개의 중소 아스콘 업체들을 거리로 내모는 행태”라 꼬집었다.
또한 그는 “아스콘의 특성상 조달청이 전체 아스콘의 대부분을 구매하기 때문에 산자부의 ‘정부개입 불가’발언은 국민들의 세금으로 정유업체들만 배불리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아스콘 조합은 공정거래위원회에 정유업계 5개사를 가격담합 의혹으로 신고하고 27일 과천정부청사 앞에서 1800명 규모의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