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서울시는 승용차 요일제 태그 공급업체로 지난 5일 현대정보기술, 디엔에스, 엑사이엔씨사를 선정했다.
이 사업은 승용차 요일제를 지키고 있는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기 위해 서울시가 야심차게 준비한 것으로, 자동차에 스티커 형태의 RFID 전자태그를 붙이면 남산터널을 통과할 때나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때, 자동으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승용차 요일제 혜택에 자동차세 연 5% 감면, 자동차 보험료 2.7% 할인이 더해져 전자 태그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를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지자체가 늘어날 경우 전국규모의 사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전망 있는 사업임에도 정작 이를 추진해야 하는 기업들은 달가워 하지 않고 있다. 조달청이 이들 3개 기업을 선정해 각각 전자태그를 공급할 수 있는 권리만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공급할 수 있는 권리란, 납품 가능 수준, 즉 생산성에 따라 제한을 둬 현대정보기술이 최대 70만장, 디엔에스가 30만장, 엑사이엔씨가 25만장까지 납품할 수 있다는 뜻이다.
서울시가 조달청에 요청한 1차 분량이 70만장이기 때문에 만약 현대정보기술로 물량이 몰리면 다른 기업들은 서울시 사업단으로 선정됐다는 명예 외에는 남는 게 없어 손가락만 빨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리스크도 높은 데, 그나마 수익성도 적다.
엑사이엔씨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 IT839정책과 관련해 첨단 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최초의 케이스라는 상징성은 크나 수익성은 적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이 숙성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한데 이 과도기적인 단계에서 선점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사업 경력이 있어야 더 높은 사업을 수주할 수 있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라도 참여한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어려움때문에 4개 기업만이 이 사업에 도전했을 가능성이 있다.
최근 IT서비스 관련 대기업들은 공공사업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노동력만 소요되고 기업간 저가 유혈경쟁으로 남는 게 없다는 것이 이들의 평가다.
서울시는 공공사업에 기업참여가 적다고 한탄하기 전에 정책에 문제는 없었는지 자문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