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감사원은 3일 정부산하기관 등 총 95개 기관을 대상으로 감사원 직원 96명을 투입해 ‘정부산하기관 경영혁신 추진실태’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정부산하기관이 ▲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른 역할과 기능의 재정비 노력 없이 방만한 조직운영 ▲인건비 등 경상경비 과도 집행해 도덕적 해이 사례가 빈발 ▲수익사업 명목으로 민간분야의 사업에 무분별하게 진출하고 과도한 수수료 징수 등 자율적 혁신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감사를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감사원은 정부산하기관의 목적사업 수행 실태 및 지배구조·내부통제시스템 작동, 산하기관 관리체계, 조직·인력 운용, 인건비·복리후생비수준 등에 대한 종합적·체계적 검토를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감사원은 “공공부문에 대한 강도 높은 혁신 분위기를 정부산하기관에도 전파시켜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부산하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감사원은 정부산하기관관리기본법 시행이후 실시되고 있는 정부산하기관 경영성과평가에 대한 메타평가도 함께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달 15일까지 실시한 예비조사 결과 ▲정부산하기관간 유사 사업 중복 투자 ▲민간부문 시장기능에 맡겨야 할 사업 추진 ▲노조에서 인사권 등 경영권 관여 ▲임금변칙인상 ▲희망퇴직금 과다 지급 ▲이사회 및 내부감사기구의 견제 기능 취약 등 문제점이 발견돼 이 같은 부분도 함께 해결할 방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