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쟁이 치열하기로 소문난 꽃배달서비스업계에 최근 유행인 오픈마켓의 시장 개념을 도입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 기업이 있다.
꽃배달 오픈마켓을 온라인 꽃배달서비스 시장에 과감하게 도전장을 던진 기업이 바로 ‘헬로우플라워(대표 김인규)’다.
![]() |
||
헬로우플라워는 지난 2003년 8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웹 솔루션 개발업체 (주)엔씨이를 설립한 후 다른 사업 아이템을 찾던 김 대표가 2004년 8월 전국 꽃배달 체인사업본부를 출범시켜 200여개의 가맹점을 확보하면서 탄생시킨 회사다.
지난 해 11월 1년여 간의 준비 과정을 거쳐 ‘꽃배달 오픈마켓’으로 사업본부를 전환하고 시장에 내놓은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의 구매 한계점 발견
김 대표는 “창업 초기에는 국민들의 삶의 질적인 성장에 비춰 온라인 꽃배달 시장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직시해 헬로우플라워 전국체인본부를 출범시켰고 쇼핑몰을 오픈해 본격적으로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 “하지만 막상 쇼핑몰을 진행해 보니 소비자 입장에서의 구매 한계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후발주자로서의 효과적인 시장 진입의 관해 연구하게 됐다”며 “기존의 업체들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시장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을 뿐 시장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업체의 부재는 그대로였다”고 밝혔다.
이에 김 대표는 이를 기회로 삼고자 지난 2004년 10월 새로운 시장 분석에 들어가면서 회사 자체적으로 TFT를 조직, 문제점의 해결 방법과 대안을 찾으면서 ‘꽃배달 오픈마켓’을 시장에 내놓게 된다.
◆전문화된 꽃배달 오픈마켓 연내 정착이 목표
현재 시장에 대해 김 대표는 “국내 연간 꽃 소비시장은 2조원 가량으로 추정되며 이 중 온라인 꽃배달 시장은 전체 시장의 3~4%(600~800억)정도로 파악 되고 있다”며 “이런 협소한 시장에서 나름대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쇼핑몰은 100여개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시장의 성장 한계에 부딪히면서 업체 간의 제 살 깎아먹기식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광고비의 상승과 소비자의 부담만이 가중 되고 있는 악순환의 연속”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꽃배달의 인식을 바꿔 향후 2~3년 후에는 오프라인 구매력의 10% 가량을 온라인으로 확보해 온라인 꽃배달 시장의 성장에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며 3년 후에는 꽃배달 오픈마켓의 매출이 5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향후 사업 진출방향에 대해 김 대표는 “전문화된 꽃배달 오픈마켓을 통한 ‘헬로우플라워‘의 브랜드를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으로 확장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