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친환경 전기 노면 청소기 도입 검토
■ '도심 속 작은 정원' 기후대응형 빗물정원, 폭우에도 끄떡없어 효과 입증
[프라임경제] 상주시(시장 강영석)는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과 환경공무관의 작업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2026년 친환경 전기 노면 청소기'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친환경 노면 청소기는 전기동력으로 작동하고 환경공무관이 쉽게 끌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이동식 청소기로 전기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소음이 적고 탄소배출이 없으며, 기존 재래식 장비인 빗자루보다 시가지 청소 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빗자루와 같은 재래식 도구를 사용해 근골계 질환이 잦은 환경공무관의 작업 여건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래식 도구 대신 친환경 전기 노면 청소기를 도입하면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도로·거리 청소 작업환경을 만들 수 있다.
상주시는 지난 28일 시청에서 시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노면 청소기 제품 시연회를 개최했으며, 시는 내년에 우선적으로 3대를 구입해 유동 인구가 많은 상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한 후 가로 청소상태 및 환경공무관의 만족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효과가 검증되면 연차적으로 확대 보급해 운영할 계획이다.
황인수 환경관리과장은 "대형청소차량 진입이 어려운 이면도로 청소를 비롯해 상가, 음식점 등 밀집 지역에 버려진 담배꽁초, 불법전단지, 낙엽, 먼지 등을 청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 '도심 속 작은 정원' 기후대응형 빗물정원, 폭우에도 끄떡없어 효과 입증
도심 내 물순환 회복, 침수 예방, 도시열섬 완화 등 다기능형 녹색 인프라 주목
상주시는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심 곳곳에 조성한 '기후대응형 빗물정원'이 지난 7월 집중호우 기간 중 침수 예방과 빗물 저류에 탁월한 성과를 거두며, 도시 기후위기 대응 인프라로서의 실효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상주시 산림녹지과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도심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기능형 녹색 인프라 확충에 주력해왔다.
대표적으로 △상주시청 옆 빗물정원 △서성동 시민교회 앞 삼거리 △라인온스탑 삼거리 교통섬 등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빗물정원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녹지 조성을 넘어, 도심 내 물순환 체계 회복과 도시열섬 현상 완화, 도시경관 개선이라는 복합적 목표를 지닌 전략적 사업으로 기획됐다.
특히 지난 집중호우 시 상주시청 인근 빗물정원이 침수나 토사 유실 없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며 우수 저류 및 지연 효과를 발휘, 그 설계 및 시공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빗물정원은 LID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적용해 화단 밖 길을 따라 길게 설치된 띠녹지보호판으로 흐르는 빗물을 삼통관으로 모아 화단 아래 매설된 빗물저금통에 일시적으로 저장해 하천이나 하수관로의 급격한 유출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통합형 물관리 시스템은 집중강우 시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의 필수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김국래 산림녹지과장은 "이번 폭우에도 도시 침수와 피해를 예방하는 데 빗물정원이 큰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로서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앞으로도 도심 내 자투리 공간을 적극 활용해 시민 중심의 스마트 녹화사업을 추진하고, 녹색복지를 실현하는 동시에 도시기후 위기에 강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