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을 둘러싸고 해운·수산업계의 비판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전국해운노동조합협의회(이하 협의회)를 포함한 주요 해운 노동단체들과 부산 수산 관련 단체들은 연이어 국민의힘을 향해 "정략적 발목잡기를 즉각 중단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협의회는 성명서에서 "국민의힘이 여야 합의를 파기하고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을 거부했다"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해운산업의 미래를 발목 잡는 무도한 행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는 성명에서 현재 해운산업이 겪고 있는 삼중고, 즉 글로벌 경기 침체와 물동량 감소, 고금리·고비용 구조에 대해 언급하며 "장관의 공백은 산업 혼란과 위기를 가중시키는 요인"이라며 청문보고서의 조속한 채택을 촉구했다. 특히 전재수 후보자가 북극항로 대응과 해운물류 전략 재편 등에서 적임자라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권이 산업 현장의 절박함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 수산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부산수산물공판장 중도매인 협회는 "기후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와 양식장 고수온 피해 등으로 수산업 전체가 벼랑 끝에 있다"며 "정치적 셈법으로 장관 임명을 지연시키는 것은 명백히 수산업계를 볼모로 삼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들은 "여야가 청문보고서 채택에 합의했음에도 국민의힘이 두 차례나 일방적으로 불참했다"며, 부산 수산업계와 시민을 앞에서는 위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부산 출신 장관 임명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수산업의 위기는 곧 식량주권의 문제"라며 청문절차 협조를 촉구했다.
전국해운노동조합협의회를 비롯해 성명에 참여한 해운 관련 노조와 부산 수산업계 단체들은 전재수 후보자의 임명 지연이 산업 전반의 정책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해운·수산업의 구조적 위기가 심화되는 시점에서 정쟁이 아니라 실용적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전재수 후보자는 부산 지역 국회의원 출신으로, 해운물류와 수산정책에 대한 이해도와 실행력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도 북극항로 전략, 스마트 해운물류체계 도입 등 정책 청사진을 제시하며 현장의 기대를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