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에서 답을 찾다" 현장 중심 소통으로 시민 중심 행정 강화
■ 한국수자원공사 댐 로컬브랜딩 공모사업 최종 선정
[프라임경제] 안동시가 민선 8기 4년 차를 맞아 현장에서 보고, 듣고 체험하며 시민 중심 시정추진을 더욱 강화한다.
안동시는 그 첫 시작으로 오는 4일 병산서원, 하회마을 일원에서 안동시청 5급 이상 간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한다.
'산불피해를 극복한 세계유산의 관광 활성화'를 주제로 관광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진행되는 이번 교육에서는 병산서원에서 민선 8기 시정 비전 특강과 함께 간부 공무원 문화·관광 역량 강화 교육이 진행된다.
기존의 수직적인 보고 구조를 탈피해 수평적 토론과 자유로운 의견 교환 중심의 형식으로 유교문화길을 걸으며 간부 간 소통과 시정현안 공유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어 7일부터는 '바퀴 달린 시장실'을 본격적으로 운영하며 소통을 중심으로 한 현장 행정을 강화한다. '바퀴 달린 시장실'은 시장이 직접 읍면동을 방문해, 지역 현안 사항을 논의하고 시민 불편 사항 및 건의 사항을 현장에서 직접 청취함으로써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현장 중심 소통행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읍면동의 주요 기관단체장과 소통하며 지역 간 행정 격차를 줄이고, 사각지대 없는 민원 수렴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을 한층 더 공고히 할 계획이다.
권 시장은 산불 피해 지역의 선진이동주택단지와 풍수해대비 위험지역현장 등을 수시로 방문하며, "모든 문제의 답은 현장에 있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현장 행정에 집중하고 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바퀴 달린 시장실'은 시청 집무실이 아닌 현장에서 시민과 눈을 맞추고, 작지만 중요한 목소리를 놓치지 않기 위한 제도"라며, "말뿐인 소통이 아닌, 시민 삶의 변화를 이끄는 '실행형 경청'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한국수자원공사 댐 로컬브랜딩 공모사업 최종 선정
안동댐·임하댐, 지역발전 제약에서 '지역 보물'로 대도약
안동시가 올해 처음 시행된 한국수자원공사(K-water)의 '댐 로컬브랜딩 공모사업'에서 3개 사업에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댐 로컬브랜딩 공모사업은 댐 주변 지역의 수변 공간과 지역 고유 자원을 결합해, 재정 지원과 함께 신규 비즈니스 창출까지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다.
총 6억원 규모의 로컬브랜딩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이 지원되며, 지자체와 민간기업,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해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전국 12개 지자체가 치열하게 경쟁한 가운데 안동시(안동댐, 임하댐)를 비롯해 양구군(소양강댐), 진안군(용담댐) 등 3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됐다.
특히 안동시는 인구정책과, 신성장산업과, 관광인프라과에서 각각 제출한 3개의 사업이 모두 선정돼 '댐 로컬브랜딩' 선도 지자체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선정된 사업은 △도산면 예끼마을을 거점으로 한 '안동 트래빌리지 프로젝트' △생태계 교란종인 배스를 친수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안동댐 리:바스(Re:Bass) 프로젝트' △임하댐 인근 망천리 일대에 모듈주택과 스마트 농업을 결합하는 '망천 숲당 스마트빌리지 조성사업' 총 3가지다.
특히 '망천 숲당 스마트빌리지 조성사업'은 이번 사업 외에 수자원공사의 댐 지원사업에도 동시에 선정돼, 총 5억원의 사업비를 추가 확보했다. 시는 두 사업 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올해 7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댐 로컬브랜딩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진행하며, 오는 10월에는 민간기업, 지역주민과 협업을 위한 얼라이언스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사업의 본격적인 실행은 2027년부터 단계별로 추진된다.
안동시 관계자는 "그동안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과 각종 개발 규제로 지역 발전에 어려움을 겪었던 안동댐과 임하댐 일대를 안동만의 독창적인 자원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라며, "댐 주변 지역 고유 자원과 수변 경관을 결합한 차별화된 콘텐츠로 안동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경제와 청년 인구 유입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