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가 올해 연말까지 한-미 FTA협상을 타결짓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산업분야의 대응체제 구축을 위한 전략회의가 열렸다.
산업자원부는 10일 김종갑 차관 주재로 경제4단체와 주요업종 대표자, 연구기관 및 학계 관계자 등과 ‘한-미 FTA 민ㆍ관 전략회의를 가졌다.
산자부는 이날 5월초 한미 양국간 협정문 초안교환과 6월초 위싱턴에서 제1차 공식협상이 예정된 만큼 정부와 업계, 전문가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차 한-미 FTA 협상은 오는 7월 서울에서 개최된 후 9월과 10월, 12월 양국을 오가며 열릴 예정이다.
산자부는 또 정부의 한-미 FTA 대응체제 구축방안으로 ▲산자부 분과장 및 품목담당과 중심 FTA 전담관 지정 및 업종별 대책반 등을 통한 협상전략과 양허안 마련 ▲경제단체, 연구계, 학계, 언론계 등이 참여하는 ‘FTA 라운드테이블’ 구축을 통한 전문가 의견수렴 ▲FTA 체결시 산업별 영향 분석, 미국 법령 및 제도분석, 협장문(안) 검토 등을 지원할 자문단 운영 등을 내놓았다.
김 차관은 “세계적으로 FTA가 확산되는 가운데 지역통합과 글로벌화가 동시에 진전되는 만큼 우리 통상정책의 핵심과제로서의 중요성이 크다”며 “미국과의 기술, 자본, 투자교류를 발판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국제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 FTA 협상을 주관하고 있는 재정경제부는 올해 안에 관련 협상을 타결한다는 방침 아래 미국과의 접촉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