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일부 기업들이 보안이나 집중근무 등을 이유로 사내에서 ‘메신저’ 이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메신저’는 여전히 원활한 의사소통 덕분에 사내 ‘인트라넷’ 보다 업무에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8일 비즈니스맨을 위한 지식네트워크 비즈몬(bizmon.com)이 재직 중인 남녀직장인 697명을 대상으로 최근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직장 내에서 ‘인트라넷’과 ‘메신저’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직장인 338명(48.5%)의 47.6%가 인트라넷(38.2%)을 이용하거나 인트라넷과 메신저를 병행(14.2%) 하는 것보다 ‘메신저’만을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다.
이러한 응답에는 재직 중인 기업의 규모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조사결과 △대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의 50.7%가 ‘메신저’가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고 △외국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42.9%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48.5%가 ‘메신저’가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공기업은 ‘인터넷메신저와 인트라넷’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는 응답이 50.0%로 가장 많았다.
성별이나 연령별로도 ‘메신저’가 가장 유용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남성 직장인 중에는 48.0%가 △여성 직장인 중에는 46.8%가 메신저가 가장 유용하다고 답해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메신저와 인트라넷’을 병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성(42.6%)이 남성(36.5%)보다 다소 높은 의견을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의 50.7% △30대의 44.8% △40대의 47.1%가 ‘메신저’가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고, ‘인터넷메신저와 인트라넷’을 병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30대 39.0% △20대 38.5% △40대 29.4% 순으로 높았다.
비즈몬 조용우 과장은 “메신저는 상대적으로 인트라넷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는 것 보다 시간지연이 적고, 실시간으로 상대와 연락이 가능해 유용한 수단으로 평가한 직장인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