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포스코, M&A 표적 가능성…제2의 KT&G 되나

월스트리트저널 "KT&G 사례와 공통점 많아" 보도

남은호 기자 기자  2006.03.07 10:03:3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포스코가 '주주행동주의'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의 대표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칼 아이칸과 KT&G의 위임장 대결에 이어 인수합병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포스코가 KT&G와 몇가지 점에서 공통점이 있고 이것으로 제2의 KT&G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6일 밝혔다.

포스크가 특정 재벌에 소속돼 있지 않다는 점이 먼저 지적됐다. 포스코와 KT&G는 국가소유의 독점기업이었고 민영화된 기업이지만 다른 기업들과의 지분 상호보유가 부족한 점을 들었다.
 
또 포스코와 KT&G의 외국인 지분율이 70%에 달한다. 포스코 지분 구조의 다른 점은 최대 주주가 미국계 알리안스번스타인(알리안스캐피탈 매니지먼트 자회사)으로 5.7%를 소유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국내 투자자들의 지분보유는 미미해 주주행동주의가 나타날 경우 분산된 주주기반이 포스코의 독립경영 방어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포스코 저평가된데다 부채 없어 매력"

포스코의 저평가된 주가도 인수합병의 좋은 조건이라는 것이다. 세계 철강업계의 3,4위 업체인 니폰스틸, JFE홀딩스의 PER(주가수익비율)가 각각 14배, 17배인데 반해 포스코의 PER은 5배도 채 되지 않는다.

포스코가 비핵심 자산을 많이 갖고 있다는 점도 KT&G와 닮은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 애널리스트의 인용을 통해 SK텔레콤 지분등 포스코가 보유한 비핵심자산을 50억 달러로 말했다.

이 신문은 포스코의 자회사에 대한 구조조정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 자회사들은 전직 포스코 경영진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포스코의 매력적인 인수합병 조건으로 저평가된 주가, 팔기쉬운 핵심자산, 부채가 없는 점, 30억 달러 규모의 현금보유자산 등을 꼽았다.

한편 이 신문은 외국자본의 포스코 인수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포스코가 한국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한국정부의 개입 가능성도 상기시켰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외국인 지분 소유 한도를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포스코에 대한 인수제안이 적법하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증권업계 "포스코 지배주주 없어 적대적 M&A에 취약"

한 외국계 투자은행 애널리스트는 "경영진들이 포스코의 기업구조에 대해 재고해야할 시점"이라며 "덩치가 너무 크다는게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포스코를 "바이아웃의 후보로 외국 자본의 적대적 인수합병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국내 대표기업들의 적대적 M&A 가능성은 지금까지 계속되어 오던 것으로, 단기 차익을 노리는 외국자본의 사냥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철강업계 M&A는 글로벌 생존전략"이라며 " 포스코의 지분구조는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적대적인 M&A에 취약하고 독자적인 글로벌 성장전략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배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포스코의 지난해 4분기 순익은 철강제품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68% 하락했다. 2005년 한국 증시의 종합주가 지수는 50% 이상 상승했으나 포스코의 주가는 8% 상승에 그쳤다.

7일 거래소 시장에서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포스코의 주가는 2.10% 하락한 23만 3000천원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