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참여연대는 (주)두산이 지난 2일 박용만 전 두산그룹 부회장을 이사후보로 추천한다고 공시한 것과 관련해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선안 발표가 기만행위임을 증명한 것이라며 박용만 이사선임에 반대하기 위해 두산 주주총회에 참석, 이사 선임을 반대할 방침이라고 6일 밝혔다.
참여연대는 특히 두산산업개발이 지난 달 28일 이사회에서 지배주주 일가인 박용현 전 서울대병원장을 이사로 내정하고 박용현씨의 장남인 태원씨를 두산산업개발 상무로 전보시키는 등 여전히 지배주주 일가의 영향력을 높이려 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지난 1월 두산그룹이 제시한 지배구조 개선 로드맵은 형사판결을 앞두고 급조한 면피용 술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박용만 전 부회장은 분식회계 등 범죄행위로 지난 달 1심에서 유죄판결을 선고받고 현재 상급법원에서 실형판결 여부가 심의되고 있는 범죄인”이라며 “이른바 ‘형제의 난’과 관련 범죄행위의 핵심 인물 한 사람을 이사후보로 추천하는 것은 후안무치한 행태이고 두산그룹이 이처럼 책임경영의 원칙을 무시할 경우 투자자와 시장의 신뢰는 회복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주)두산이 이번 주주총회에서 전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정관을 변경하려 하는 것도 의심이 든다고 밝혔다. 전환조건 및 전환될 주식의 수와 내용을 이사회가 정하도록 한 전환주식의 도입은 경영권 방어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심지어 등기이사인 경우에만 회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등기이사가 아닌 사람도 회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해 박용성 회장이나 지배주주일가가 여전히 (주)두산의 회장으로서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배려까지 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참여연대는 “두산그룹이 불법행위를 저지른 총수일가의 그룹지배력을 유지, 강화하기 위해 스스로 내건 지배구조 재선 약속을 저버리는 것은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를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박용만 이사선임안을 스스로 철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