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철도노조는 파업 사흘째인 3일 오전 10시30분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1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사태의 조기해결을 위해 노사간의 교섭 재개 환경을 조성하고 실질적인 자율교섭을 보장하라”고 정부측에 촉구했다.
철도 노사 양측의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열린 기자회견에는 경찰이 노조 지도부에 대해 체포 영장을 발부받고 검거에 나섬에 따라, 신병상의 이유를 들어 김영훈 노조 위원장은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다.
전국철도노조 중앙쟁의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사측은 2일 387명을 직위해체하고 2000여명에 대한 추가 직위해제를 예고했으며 조합원들에게 3개월의 장기 직위해제를 협박하고 있다”면서 “경영진의 대량징계와 선복귀 후대화 입장은 파업 장기화와 노사관계 파행의 악순환만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철도노조는 탄압에 대비해 파업을 준비해왔기 때문에 1만5000여명이 계속 산개해서 파업농성을 전개하고 있고 파업은 장기화될 것”이라며 “공권력을 통한 미봉적 사태 수습을 정부는 반복하지 말고 철도파업의 원인을 해결하는 구체적 대책 마련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이번 철도파업에서도 직권중재 조항은 노사간 자율교섭을 가로막고 노사관계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악법조항임이 여실히 드러났다”면서 “공공부문의 성실교섭과 자율합의를 가로막는 독소조항인 직권중재 조항을 조속히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철도노조 중앙쟁의대책위는 특히 “국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경영진과 정부는 사태의 조속한 수습보다 철도노조 무력화에만 주력하고 있다”면서 “이는 철도운영을 책임지는 공적 기관의 자세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철도노조 지도부는 불가피하게 실정법을 위반한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겠다”면서 “하지만 정부는 노사간의 극한대치를 해소하고 교섭이 재개될 수 있도록 환경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철도노조측은 기자회견 직후, 산개파업 상황을 설명한 자리에서 현재 1만4147명이 공권력과의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산개투쟁을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KTX여승무원의 정규직화에 대해서는 “철도공사가 위탁 계약한 KTX관광레져는 3일까지 채용공고를 낸 상태”라며 “현재의 상태가 계속될 경우 KTX여승무원 전원은 해고상태가 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또 노사간에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해고자 67명에 대한 복직문제와 관련해 철도공사측이 “노사평화선언과 연계하는 것에 대해 수정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철회한 바가 없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