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개발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2006년 상용화 기술개발 등에 전년보다 10% 늘어난 49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개발제품의 판로를 연계하여 주는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160억 원) ▲우수 기술의 중소기업 이전촉진과 실용화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사업’(90억 원)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 지원하는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240억 원) 등으로 추진된다.
중기청은 이 사업의 1차분 306억 원(구매조건부 83억 원, 이전기술 53억 원, 직무기피 170억 원)을 지원하고, 금년 6월경에 2차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사업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은 기술개발계획서 등 관련서류를 작성해 다음 달 2일부터 24일까지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은 해당 수요기관에,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사업’ 및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은 각 지방 중소기업청에 접수하면 된다.
이번에 신청·접수된 과제에 대해서는 3월 중 현장평가와 전문기관의 기술성·사업성 평가를 거쳐 올 4월 말에 지원업체를 선정해 개발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은 정부, 공공기관 등 수요기관이 제시한 개발과제에 대해 정부가 총 사업비의 75% 까지 2억 원의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개발성공제품에 대해 수요기관에서 구매를 보장해 주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올해는 지난 해 100억 원보다 60% 늘어난 16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이번 1차 사업에는 17개 정부·공공기관에서 44개, 대기업에서 40개 등 총 84개의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은 그간 국방부, 철도공사 등 공공부문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지난 해 하반기부터 포스코 등 7개 대기업이 처음 참여하기 시작해 두산인프라코어, KT, STX조선, SKC, 대우일렉트로닉스 등 6개 대기업이 신규로 참여하기로 확정돼 민간부문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으로 부터 우수기술을 이전받아 실용화·상품화하는데 소요되는 추가
개발비용을 1년 이내, 개발비의 75%까지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 해에는 지난해보다 53%가 증가한 90억 원으로 예산을 확대했으며, 이번에는
1차로 약 80여개 업체에 53억 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요 지원대상은 기술이전계약체결 후 1년 이내의
사업화되지 않은 기술로 ▲지식재산권으로 등록 또는 출원중인 기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 완료된 기술 ▲각종 학회지·논문·간행물 등에 수록
소개된 기술 ▲기타 소유권이 있는 기술로 보유기관(대학, 연구기관)과 계약 체결된 기술이나 기술 거래·평가기관을 통해 중개된 기술 등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중소기업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은 중소기업의 고질적인 인력난 해소를 R&D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 2002년도부터 시행되었으며, 연구소와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컨소시엄개발과제와 자체개발능력이 있는 중소기업이 주관하는 중소기업개발과제로 구분 지원하고 있으며, 1차로 170억 원 100여개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청은 올 4월 중에는 기술혁신개발사업 일반과제를, 6월에는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이전기술개발사업의 하반기 2차 사업공고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