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요즘 직장인들은 직장에서 인터넷을 ‘4시간’ 정도 이용하는데 그 중 ‘1∼2시간’은 신문과 뉴스를 보거나 이메일 채팅을 하는 등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비지니스맨을 위한 지식 네트워크 사이트 ‘비즈몬’이 국내 직장인 69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인터넷 이용실태’를 16~22일사이 설문조사(이메일)한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하루평균 ‘9~10시간’(55.8%) 직장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근무시간 중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은 ‘4시간’이라는 응답자가 6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5시간 9.9% ▲6시간 8.5% 순으로 많았다.
직장에서 ‘업무상’ 필요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은 ‘2시간’이 27.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1시간 21.1% ▲3시간 17.1% ▲4시간 13.5% 순으로 많았다.
‘개인적인 용도’로 이용하는 시간은 ‘1시간’이 54.9%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시간’ (29.8%) 이용한다는 응답자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같은 인터넷 활용이 높은 원인으로는 ‘업무에 필요한 자료검색의 빈도가 점점 증가’(61.2%) 하고 있고, ‘오프라인 자료검색 보다 온라인 자료검색이 효율적’(24.8%)이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인터넷 이용 시간은 직무에 따라 달라 특히 ‘비서직’과 ‘광고홍보직’ 의 인터넷 이용시간이 높았고, ‘생산직’과 ‘영업관리직’의 인터넷 이용시간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기업규모별’로 ▲대기업 12.9% ▲외국기업 3.9% ▲공기업 6.2% ▲중소기업 77.0%가 참여했고, ‘연령별’로 ▲20대 20.9% ▲30대 43.0% ▲40대 4.9% ▲50대 1.1% 직장인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