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Sketch
1) 유럽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전일 유럽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은행주의 실적 호재 소식이호재로 작용했다. 영국 5위 은행인 로이즈 TSB는 작년 하반기 순이익이 4% 증가한 13억파운드를 기록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는 4.7% 상승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은행 관련주의동반 오름세를 이끌었다. 또한, 도이치방크가 프랑스 5위 은행인 나텍시스에 대해서 저평가 되어 있다고 밝히면서 투자의견을 기존의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것도 긍정적으로작용했다.
2)
미국증시 시황 분석
및
미국 증시가 혼조세로 마감되었다. 다우지수는 하락세로 마감되었으며 기술주의 나스닥과 S&P 지수는 상승세로 마감되었다. 변동폭은 크지 않았으나 유가 급등 소식에 금리 민감주가 다시 장세를이끌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 자살 폭탄 공격이발생했다는 소식으로 산유시설에 대한 공격 가능성이 대두, 유가가2달러 이상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실제 생산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이란의 핵사태와 나이지리아의 문제 이후 다시 지정학적 불안감까지 가중되면서 유가를 자극했다. 여기에다가 내구재주문 지표까지 부정적으로 발표되면서 제조업 부문의 지수를 압박했다. 미국의 1월 내구재 주문은 보잉사의 항공기 수주 감소
여부로 10.2% 급감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4년 반래 최고치를 기록했던 다우지수는 주초 대비 0.5% 하락을 기록했으며 반면, S&P500 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주초보다 0.2%씩 상승마감했다.
또한, 전일에는 폴 세인트루이스연은총재가 미국 경제는 취약하지 않으며 금리는 필요한 수준에 와 있다는 발언을 통해 유가 상승에 따른 에너지주 이외에 은행주와 금융주들도 상승세를 보였다. 일단,증시 전반에 금리 민감도는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차례의 조정 이후 시장은 다시 상승 모멘텀을 잃어가고 있다. 기업들의실적 재료로 한때 반등세를 시도했지만 다시 불거진 추가 금리 인상전망감에 시장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주 발표되는 주요경제지표들의 향방이 다시 한번 시장에 흐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인 방향성을 이끌 정도는 아닐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은 지금부터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대해서 어느정도 반영을 이끌어내면서 소화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가 중요한 모멘텀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적으로도 여전히 중기 상승 추세는 유지되고 있으나 조정 횡보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조정시마다 저가 매수의 기회를 찾거나 고점을 돌파하는 새로운 기술적 상승 모멘텀이 발생할 때까지 여유롭게 기다리는 것도 중요한자세일 것으로 판단된다.
Vs Global Market
(1) 해외 통화 시장 동향 및 전망
통화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주요 유럽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으나엔화에
대해서는 약세를 보였다. 외환시장에서는 사우디 정유시설에대한
폭탄 공격 소식으로 한때 주요통화대비 약세를 보였으나, 유가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이 부각되면서 다시 달러 강세로반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장 마감 후 버냉키 의장은 한 대학행상에서
"낮은 인플레이션이 연준리의 정책 목표의 중심"이라는 취지를
밝히면서 외환시장은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에 베팅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따라 절대 금리 차에 따른 달러 강세요인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엔화에 대해서는 약세를 보였는데, 이는일본
은행이 정책 금리를 조만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엔화에힘을
실어주었다. 이에 따라 엔화는 달러에 대해서 1개월래 최고치, 유로에
대해서 5주래 최고치까지 가치가 올랐다. 그러나, 유로존에서도
여전히 ECB(유럽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전망감이 사그라들지않음에
따라 전반적으로 절대 금리 차에 따른 달러 강세 요인은 어느정도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외환시장도 여전히 방향성을정확히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외환 시장도 절대금리라는
소재의 부각 여부에 따라 흔들림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의 박스권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미금리 시장 동향 및 전망
채권시장은 하락세로 마감했다. 미국발 경제지표는 채권 시장에 긍정적이었으나 연준리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전망감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약세를 보였다. 현재 금융 시장에서는 연준리가 3월 회의에서 금리를 25bp 인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5월에도 추가금리인상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최근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미국 경기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은 금리 인상의반영을 이끌어 가고 있다. 채권 시장의 방향성이 특별하게 나타나지못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현재의 가격대에서 하단을 테스트 하는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Technical Summary
투자 의견 (3월물 기준)
기술적 분석은 "이동평균선과 MACD를 이용한 패턴 매매"를 기본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패턴 매매에 대한강의는 KR선물로 연락주시면 강좌 내용 및 일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품목 | 투자의견 | 지지대 | 저항대 |
E-mini 나스닥 |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유보 전저점(기술적 지지대) 지지 여부 관건 |
1차 : 1680 2차 : 1669 |
1차 : 1697 2차 : 1705 |
E-mini S & P | 기존 추세 : 상승 투자마인드
: 매수 진입
전고점 돌파 여부 관건 |
1차 : 1289 2차 : 1284 |
1차 : 1296 2차 : 1302 |
유로/달러 |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중 박스권 투자마인드 : 고점 매도 조정세 진입, 박스권 양상, 매수 div 발생 여부 주의 필요 |
1차 : 1.1825 2차 : 1.1790 |
1차 : 1.1875 2차 : 1.1900 |
엔/달러 | 기존 추세 : 하락 추세, 반등시도 투자마인드
: 고점 매도
일봉상 매수 div 발생 |
1차 : 8560 2차 : 8540 |
1차 : 8640 2차 : 8675 |
미국채 30년물 |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박스권
일봉 매수 div. 발생, 이평선 수렴 중 |
1차 : 112.05 2차 : 111.28 |
1차 : 112.30 2차 : 113.10 |
미국채 10년물 | 기존 추세 : 추세 전환대 투자마인드
: 박스권
하락 추세 진행 중, 매수 div. 일봉상 발생 |
1차 : 107.165 2차 : 107.055 |
1차 : 107.275 2차 : 108.070 |
Issue Analysis
이번주 경제지표 발표 내용 (2/27~3/3)
발표일 |
경제지표명 |
발표시간 |
예상치 |
이전치 |
발표치 |
27일(월) | 신규주택판매 - 1월 | 00:00 | |||
28일(화) | GDP(예비치) - 4분기 | 22:30 | |||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 2월 | 00:00 | ||||
소비자 신뢰지수 - 2월 | 00:00 | ||||
기존주택판매 - 1월 | 00:00 | ||||
1일(수) | 자동차 판매 - 2월 | 02:00 | |||
트럭 판매 - 2월 | 02:00 | ||||
개인소득 - 1월 | 22:30 | ||||
개인지출 - 1월 | 22:30 | ||||
건설지출 - 1월 | 00:00 | ||||
ISM 제조업 지수 - 2월 | 00:00 | ||||
주간 원유재고량 | 00:30 | ||||
2일(목) |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 |||
3일(금) | 미시간대학 소비자신뢰지수 - 2월 | 23:50 | |||
ISM 서비스 지수 - 2월 | 00:00 |
* 경제지표발표 일정 및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간 행사 안내 - (괄호 안은 한국시간)
해외 주요 행사 (2/27 ~ 3/3)
<2월27일 (월)>
⊙브라질 - 카니발 연휴로 금융 시장 휴장 (28일까지)
⊙미국 - 1월
신규주택판매 (자정), 1월 건축허가건수 수정치 (시간미정)
⊙헤이그 - 폴 울포위츠 세계은행 총재 네덜란드 방문 (오후
10시)
<2월28일 (화)>
⊙대만 - 'Peace Memorial Day' 로 금융 시장
휴장
⊙일본 - 2월 제조업 PMI지수 (오전 8시30분), 1월 소매판매 (오전 8시50분), 1월 산업생산 (오전
8시50분),
1월 주택착공건수 (오후 2시), 1월 건축주문건수 (오후 2시)
⊙미국 - UBS발표 주간 소매판매 (오후 9시45분), 4분기 실질
GDP 수정치 (오후 10시30분), 주간 레드북
(오후 10시55분), 2월 전미구매자협회관리(NAPM)지수 (오후 11시), 2월 소비자 신뢰지수 (자정),
2월 시카고 PMI지수 (자정), 1월 기존주택 판매 (자정)
⊙런던 - 제12차 유로머니 투자자 회의 (3월1일까지)
⊙시카고 -
마이클 모스코우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 연설 (3월1일 오전 1시)
<3월1일 (수)>
⊙미국 -
ABC/WashPost 주간 소비자 신뢰지수 (오전 7시), 주간 모기지마켓지수 및 리파이낸싱지수
(오후 9시), 1월 개인소득 (오후 10시30분), 1월 건설지출 (자정), 2월 ISM 제조업지수 (자정)
⊙미국기업실적발표 - ADC
텔레커뮤니케이션즈 (1분기)
<3월2일 (목)>
⊙미국 -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오후
10시30분)
⊙프랑크푸르트 -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회의 후 금리 발표 (오후 9시45분)
⊙뉴올리언스 - 마크 올슨
연준리 이사 연설 (오후 11시30분)
⊙미국기업실적발표 - 코스트코 (2분기)
<3월3일 (금)>
⊙일본 - 1월 실업률 (오전 8시30분), 1월 소비자물가지수 (오전 8시30분)
⊙미국 - 2월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확정치 (오후 11시45분), 2월 ISM 비제조업지수 (자정)
* 인터넷 및 CATV를 통해 해외선물 실전 투자 전략 및 시황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황상담 : KR선물(주) 과장 남동완 (2168-7405(직통)), don@krfutures.co.kr
본 시황은 투자 고객을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입니다.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이며 KR선물 및 정보제공자에게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