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전국철도노조의 내달 1일 총파업 예정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노사간 12차 본교섭이 재개됐다.
그러나 양측의 입장차이만 확인했을 뿐 뚜렷한 의견접근은 없었다. 철도노동자들의 총파업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한국철도공사 노사는 26일 오후 4시부터 서울사옥에서 교섭을 재개했다.
사진제공=전국철도노조 | ||
이에 대해 사측은 “노조측의 의견에 공감하는 부분은 있지만 사회적 분위기 등 여러 여건상 공공협의회를 구성해 그 틀안에서 논의하자”는 입장을 밝혔다고 노조측은 전했다.
노조측이 요구하는 인력충원과 관련해서도 노사간의 의견은 엇갈렷다.
온전한 주5일제 시행에 필요한 인력과 신규사업 시행에 따른 필요인력을 충원해달라는 노조측의 요구에 대해 사측은 “정원을 늘리기는 어렵다”면서 “필요인력을 자회사나 외주용역으로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비정규직을 채용, 인력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노조는 이에 대해 “공사측의 무분별한 외주확대에 따라 철도산업은 파괴되고 결국 열차안전의 위험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항의했다.
철도공사가 경영혁신(PI)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사자원관리(ERP) 프로젝트에 대한 노사간의 입장도 첨예하게 달랐다.
노조측은 “개인정보의 유출과 인권침해, 노동통제의 수단”이라고 지적했으나, 사측은 “경영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일축했다.
이날 교섭은 오후 10시30분까지 진행됐으나 노조측의 핵심요구안 가운데 하나인 ‘해고자 복직과 비정규직 차별 철폐’ 문제는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차후 교섭이 27일 오후 2시로 예정된 가운데 노조측은 “28일 오후 21시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내달 1일 총파업 수순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날 교섭장 밖에서는 철도공사와 철도유통측의 승무제지에 반발하며 쟁의행위를 벌이고 있는 KTX 여승무원 20여 명이 “KTX승무원은 일하고 싶다” “승무정지 철회하라”는 문구가 담긴 피켓을 들고 침묵시위를 전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