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는 내달 1일로 예정된 철도공사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의 파업에 대비해 국민 불편 및 화물운송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수송대책을 마련했다고 24일 밝혔다.
정부는 철도공사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가 예정대로 파업을 시작하면 신속히 대체인력을 투입, 기본적인 수송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버스와 항공 등 타 교통수단의 수송력을 최대한 증강하고 수도권 전철 운행구간은 버스 노선을 연장하며,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및 마을버스를 증편 운행하는 등 시민의 교통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철도화물의 경우, 화물자동차의 여유용량을 최대한 활용해 도로로 전환 수송하는 등 만반의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철도와 서울메트로 노사에 대해 국민 편익과 공익적 관점에서 성실한 교섭을 통해 조기 타결하는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기로 했다.
특히 철도의 경우 현재 관계부처 합동으로 철도공사 경영개선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전 7시30분 서울 삼성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노동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철도사업의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서로 상생하나는 원칙을 가지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히며 만약 파업을 강행할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리는 회의에서 “철도노조의 경우 단체협약의 대상이 아닌 해고자 복직 등을 이유로 파업을 강행할 경우 불법파업에 해당된다”면서 “파업과정에서 불법행위가 발생할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