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업자원부는 유전개발펀드가 오는 7월 출시할 예정이며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법령 개정작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산자부가 추진하는 유전개발펀드는 해외유전개발사업에 일반 투자자들이 간접투자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해외유전개발사업에 시중의 풍부한 유동자금을 활용하는 것.
산자부는 이를 통해, 국가 차원에서는 원유·가스의 자주개발목표 달성에 필요한 재원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투자자 개인에게는 안정적인 수익 확보처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유전개발펀드는 산자부, 석유공사,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자원개발업계, 금융권 및 법무·회계법인 등 참여·검토하고 작년 8월 공청회를 거쳐 작년말에 세부 방안을 도출했다.
유전개발펀드는 다수의 일반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공모방식과 소수의 거액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사모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고 산자부는 설명했다.
그러나 유전개발 특성상 높은 투자위험도, 미래수익의 불확실성과 장기간 투자 등 민간자금의 원활한 유입에 장애가 되는 한계요소를 해소하는 것이 펀드 조성의 관건이 될 것으로 산자부는 판단했다.
이를 위해 산자부는 투자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펀드의 투자 위험 완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을 위해 관련부처와 적극적인 협의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유전개발펀드는 지난해 대통령 주재 국가에너지자문회의에서, 향후 해외자원개발에 대규모 투자재원 확보가 필요하다고 보고, 정부 지원예산의 확대와 아울러, 도입을 적극 검토키로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