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양극화 해소안' 정책 논의 실종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국정브리핑 홈피서 주장

최봉석 기자 기자  2006.02.18 18:35:3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일부 언론이 정부 정책에 대해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공격을 위한 공격에만 몰두함에 따라 ‘정책논의가 실종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17일 ‘국정브리핑’ 홈페이지 ‘보수 언론의 시비걸기와 양극화 해소 정책’이라는 ‘최영재 칼럼’을 통해 최근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겪은 ‘바가지요금’에 대해 말문을 연 뒤, “일부 한국 언론의 시비걸기와 공격적 관행은 필리핀 택시기사의 바가지 씌우기와 많이 닮았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최 교수는 먼저 “(언론들이) 정부의 정책에 대해 사사건건 시비조로 대들고 사실을 비틀어 버리고 악의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일이 너무 자주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하며서 “특히 보수 언론들의 현 정부에 대한 공격적 태도는 언론의 권력 감시와 비판 기능의 정도를 훨씬 넘어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때문에) 정책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보수언론들의 습관적인 공격을 아예 현실적인 조건으로 인정하고 이쪽에서도 거의 조건 반사적으로 반격을 가하고 있다”고 털어놓은 뒤, “이는 언론에 대한 비아냥이나 냉소가 아니라 처절하고 열악하기 그지없는 우리 언론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 같은 보도의 사례로 노무현 대통령이 신년연설에서 제기한 ‘양극화 정책’에 대해 거론한 뒤, “대통령이 이 문제를 정식으로 꺼내자마자 일부 보수 언론은 공격을 위한 공격에 몰두하느라 정책 논의를 실종시키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구체적으로 “양극화 해소 정책을 둘러싼 일부 보수 언론의 문제 제기의 공통점은 한마디로 정치적 공세였다”면서 “언론은 양극화 문제를 보도하고 논의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공격 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예로 “일부 언론은 양극화 문제를 처음부터 정치적으로 민감한 증세 논쟁으로 끌어가기 시작했고, 지방선거와 대선을 겨냥한 저소득층 유권자를 결집시키기 위한 청와대의 노림수라는 정치적 해석을 했으며, 성장을 무시하고 분배만 중시하는 진보적 이슈라고 규정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런 언론의 보도 태도는 야당의 정치적 공세와 코드를 같이 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마지막으로 “일부 한국 언론의 정파적 저널리즘과 공격 저널리즘 속성은 이제 마치 관행처럼 됐다”면서 “신문의 정치적 공세 보도는 저쪽의 정파를 공격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언론 스스로의 신뢰도까지 좀먹는 부메랑 효과를 발생시켜 신문 위기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