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서울지하철노조가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집단으로 산재를 신청했다. 그러나 서울메트로(전 서울지하철공사)는 “개인적인 질병인지 직무로 인한 질병인지 그 발생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것”이라며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는 반응이다.
18일 서울지하철노조와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노조는 지난 17일 근골격계질환자 112명의 집단산재승인을 요구하는 집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요양을 신청했다.
이 자리에서 지하철노조는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서울지하철노동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및 직업병 건강진단을 실시한 결과 580명 중 62%인 3617명이 근골격계질환을 호소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검진이 필요한 306명에 대해 검진을 실시한 결과, 144명의 질환자가 진단됐고 노조는 이 중 112명에 대해 기자회견 직후 집단요양신청을 접수했다.
노조측의 이 같은 조사는 지난 2003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면서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예방 의무가 부가됨에 따른 것이다.
서울지하철노조는 “지난 99년 이후 1621명의 정원 감축과 휴일축소, 인원증원 없는 1시간 심야 연장운행 등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노동강도 강화가 있어 왔다”며 구조조정으로 인한 노동강도 강화로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사결과 거의 모든 부서에서 근골격계질환 발생의 직업적 요인이 발견됐고 그 위험 수준 또한 심각하다”고 말했다.
서울메트로는 노조측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대부분의 직원이 3조 2교대 근무를 실시해 월평균 근무 출근일수가 16~17일 정도에 불과하고, 근무시간 중 상당 시간은 대기성 근무로 하거나 일부 직종의 경우 직무의 성격상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이 희박해 설득력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특히 “집단산재를 신청한 112명은 업무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아 업무관련성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 근로복지공단에 업무관련성 평가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서울메트로측은 “최근에 노조가 집단으로 산재신청을 해 산재승인기관을 압박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가 누적돼 나타나는 직업병 가운데 하나인 근골격계는 대부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 발생하는데, 주로 목·어깨·허리 등 근육의 통증과 감각이상을 일으킨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운수업 등에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