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는 오는 2010년까지 철도교통사고와 인명피해를 40%까지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키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정부지원 1조1708억원, 철도공사 및 도시철도 자체 충당 3조8492억원 등 총 5조197억원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이번 ‘5개년 철도안전종합계획’은 철도관련 교통사고와 테러 등 각종 사고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에 역점을 두고 추진된다.
건설교통부는 이번 종합계획에 따라 그동안 교통안전기본계획과 인적재난, 재해 관리를 이원화했던 개별 안전대책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해 철도산업 발달에 따른 사고위험 요인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10년까지 전국 466개의 철도건널목을 입체화하고 총연장 201km의 선로변 안전울타리 설치, 승강장내 스크린도어 131개소 및 안전펜스 175개소 설치 등 안전설비를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또 20~30년 이상 노후된 차량 1072량을 연차적으로 교체하고 역무실과 관제실, 차량의 다자간 통합무선망(TRS)를 구축하는 한편, 지난 2003년부터 추진중인 전동차 5996량의 내장재를 교체하게 된다.
이밖에 오는 7월 항공과 철도를 분리해 운영했던 ‘항공 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통합하고 모의종합훈련을 연 1회 이상 정례화하는 등 사고예방 대책을 세워나갈 방침이다.
한편 2004년 현재 최근 5년간 철도사고는 3860건으로 연 평균 772건에 달했으며 사망 1557, 부상 2242 명 등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철도 및 지하철 운영기관 등이 함께 참여한 통합계획으로 매년 정부와
지자체, 각 철도운영기관 등에서 1년 단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등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