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우건설 매각 예비입찰에서 탈락한 4개업체 중 2개 업체가 두산그룹보다 높은 가격을 써내고도 탈락한 것으로 밝혀져 파문이 예상된다.
이는 당초 자산관리공사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목적으로 최고가격 입찰 원칙을 강조해온 것과는 정반대다. 특혜의혹 제기 이후 구체적인 근거가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따라 자산관리공사가 특정업체를 밀어주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선정기준 및 평가결과를 공개하라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
16일 대우건설 노조 등에 따르면 탈락한 4개 업체 가운데 D기업 등 2개업체가 두산그룹보다 높은 가격을 써냈다.
D기업은 주당 가격을 1만 7000원, 또다른 D업체는 주당 1만 6000원을 제시한 반면 두산그룹은 주당 1만 4000원을 제안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재무적투자자(FI) 구성에서도 탈락한 4개업체 모두 두산그룹에 비해 상세한 자금구성 내용과 조달금액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과 두산산업개발 등에서 1조원을 조달한다는 내용 외에는 FI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특혜의혹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자산관리공사는 최고가격 제시, 재무적 안정성, 경영계획 등 평가요소등을 고려하면서 최고가격 제시에 가장 비중을 둬왔다. 지난해 대우종합기계 매각 당시에는 최고가격을 써낸 기업에 낙찰됐다.
대우건설 노조는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자산관리공사는 의혹만 키우지 말고 구체적인 선정기준 및 평가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산관리공사측은 "그동안 밝힌대로 재무, 비재무적 요소와 국가사회에 미치는 영향, 인수기업의 경영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지만 구체적인 요소별 점수계량화는 하지 않았다"고 밝혀 주관적 요소가 개입될 수 이 가능성을 암시했다.
캠코 관계자는 "예비입찰 결과를 놓고 어느정도 말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대한 공정성이 지켜졌다고 본다"며 "FI가 잘 구성돼있더라도 사이즈가 작은 기업이 좋은 재원조달 계획을 세웠다해도 써낸 가격은 낮더라도 안정성이 보이는 쪽을 택할 수 밖에 없는 딜레마를 겪었다"고 말했다.
그는 "계약조항에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명시돼 탈락업체들이 제3의 입을 통해 흘리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본입찰 대상 6개 업체 중 삼환기업 등 2개업체가 50% + 1주에 22% 추가 인수가격을 제시한 상태이며 나머지 4개 업체도 22% 까지 추가인수할 의향이 있음을 캠코측에 밝혔다.
한편 대우건설 노조는 지난 15일 "두산그룹과 한화, 군인공제회의 입찰참여에 대해 반대한다며 20일 부터는 사회노동단체 및 정치권과 대우건설 매각 실력저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