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주)코오롱노조의 상급단체인 민주노총과 화학섬유연맹은 16일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1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주)코오롱의 부당노동행위를 규탄한 뒤 코오롱그룹 전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에 돌입하고 이달 말부터 전면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온갖 더러운 백화점식 노동탄압과 인권탑압을 자행하는 코오롱그룹의 노조탄압 음모를 용인할 수 없다”면서 “그 첫 단추로 중집과 중앙위원회의 결정으로 전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1년 7개월 동안 힘겹게 투쟁을 전개해온 코오롱노동조합의 정리해고 분쇄투쟁을 결코 외면하거나 외롭게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기자회견에서 △2004년 8월 ‘구조조정은 없다’라는 합의를 전제로 했던 코오롱노조의 임금동결과 무노동, 무임금 수용 △2005년 2월 ‘정리해고는 없다’는 합의를 기초로 했던 15.7%의 임금삭감 합의는 노사관계의 파행을 막아보자는 노조의 노사상행의 노력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그러나 회사측은 합의서에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1000명에 이르는 강제적인 희망퇴직과 78명에 이르는 노동조합 전현직 간부들을 정리해고했으며 구조조정 음모를 지금까지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정리해고 노동자가 노동조합 위원장으로 당선되자 이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사측이 음모를 꾸몄던 사실이 선관위원회의 양심 선언으로 만천하에 드러났다”면서 “특히 노조원들의 성향을 3단계로 구분해 관리해온 ‘Re-e전략’이라는 블랙리스트가 밝혀지는 충격적인 사건들도 연이어 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특히 “(주)코오롱에 대한 노동부의 특별조사 결과 부당노동행위가 분명하다고 중간 결론이 내려진 시점에도 불구하고 회사측은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주)코오롱건설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주장도 나왔다.
민주노총은 “최근 밝혀진 ‘현장소장 간담회 결과보고’라는 코오롱건설에서의 노조파괴를 위한 또 다른 블랙리스트를 접했다”면서 “이는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한 이후 모의되고 추진된 노조무력화와 파괴를 기도하는 음모이자 불법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코오롱노조는 회사측의 일방적인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시점인 지난 3월부터 HBC코오롱의 BMW, FNC코오롱의 헤드, 잭니클라우스, 엑티브, 아르페지오, 코오롱스포츠, 코오롱 건설의 브랜드인 ‘하늘채’ 등 코오롱 전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인 바 있다.
이날 기자회견과 관련해 사측은 “불경기 상황에서 회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코오롱노조가 아닌 민주노총과 일부 해고자들을 중심으로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 자체가 안타깝다”며 “특히 코오롱 구미공장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코오롱그룹을 끌어들여 코오롱그룹을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코오롱노조와 화섬연맹은 이날 기자회견 직후 오후 3시 과천의 그룹 본사 앞에서 투쟁선포식을 갖고
“20일부터 과천, 구미, 김천에서 동시 단식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또 (주)코오롱 구미공장 노조원 가운데 일부는 17일 오후 3시부터 삼보일배를 실시하며 코오롱 문제해결에 관계기관이 나설 것을 호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