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은행 노조는 14일 최근 정기인사와 관련한 노동조합 4개 요구안에 대한 강정원 행장 명의의 공문을 통한 공식적인 답변과 관련해 내용이 미흡하다는 이유를 들어 답변을 재요구했다.
노조는 강정원 행장의 답변이 구체적이고 실효성있는 답변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이날 오전부터 다시 집회를 개최하는 등 반발하고 있어 인사로 인한 노사갈등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 노조에 따르면, 강정원 행장은 지난 10일 노조측에 보낸 공문을 통해 △대표자 회동에서 유감의 뜻을 표시하겠다 △전산 부행장 임명은 삼고초려 끝에 정말 능력있고 검증된 인사를 영입한 것이다(영문 이력서 첨부)라고 밝혔다.
또 △팀장, 팀원급 후선보임 관리방안과 임금피크제, 준정년제 논의를 포함하는 노사 공동 TFT를 구성하고 △내부 출신 부행장 과반수 확보는 차기 임원 정기 인사를 비롯한 임원 선임시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노조측에 전달했다.
노조는 그러나 “강 은행장의 답변 내용은 사태의 심각성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 보인다”면서 “강 행장의 이 같은 상황 인식이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지난 달 정기인사에 반발하며 △강정원 은행장의 공식 사과 △함량 미달인 전산 부행장 임명 철회 △부당한 부점장 후선보임에 대한 납득가능한 대안 제시 △내부 출신 부행장 확대 방안 구체적 로드맵 제시 등 4개 사항을 은행측에 요구하고 있다.
노조측은 “전산 부행장의 영문 이력서 한 장 받자고 노동조합이 지금 힘겨운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아니”라며 “문제는 내부 출신은 무조건 불신하고 씨티 출신은 무조건 우대하는 행장의 편협한 사고 방식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내부 출신 부행장 과반수 임명 노력은 구두 약속에서 문서 약속으로 바뀐 것 밖에 없다”면서 “그러나 구두 약속이라는 것도 노동조합이 공개 공표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문서 약속과 질적인 차이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 연말 이미 행장이 점진적 개선과 임기내 과반수 임명을 약속했는데도 불구하고, 1.31 인사에서 이 점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노사 TFT 구성 제안도 실효성이 없다”면서 “준정년 퇴직제, 임금피크제 등은 이미 노사간 TFT를 구성해서 논의하기로 합의했던 사항인데 인사 파행으로 구성이 늦춰지고 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런 까닭에 노조는 지난 13일에 이어 14일에도 또다시 집회를 강행하고 “내부 직원은 무조건 무능하고 씨티 출신은 무조건
유능하다는 강 행장의 잘못된 인식이다”며 “노동조합도 씨티 출신으로 구성하면 요구를 들어줄 것이냐”고 은행측의 태도를 비꼬았다. 이어 “강
행장의 답변을 인정할 수 없으며 전향적인 추가 답변을 내놓기 전까지는 가열차게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 관계자는
“인사가 강 행장의 고유 권한인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3만 직원을 움직이는 문제에 있어서는 경영진의 고유 권한은 없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그러나 “은행장이 공식 문서를 통한 답변을 함으로써 기존의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다”면서 “이 때문에 투쟁 수위를 높이면서 동시에 요구안 수용을 촉구하기 위한 협상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